한국거래소와 한국상장회사협의회에는 지난해 12월결산 상장법인중 금융업, 결산기 변경, 분할·합병 등 전년대비 비교가 불가능한 82개사를 제외한 552개 상장사들의 이자비용이 총 9조8030억원으로 전년(7조9488억원) 대비 23.33% 증가했다고 12일 밝혔다.
이자보상배율은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값으로, 기업이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얼마나 감당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된다. 영업이익 1000원당 이자비용으로 196원을 지출해야 하는 것이다. 직전 사업연도에는 영업이익 1000원당 166원의 이자비용을 지출했다.
또한 10대 그룹의 이자보상배율은 8.98배로 나타났고, 비10대그룹의 이자보상배율은 2.84배였다.
이자비용이 ‘제로’인 무차입 경영 회사는 광주신세계, 남양유업, 대교, 대덕GDS, 더존비즈온, 덕양산업, 비상교육, 삼성공조, 성보화학, 신도리코, 신세계I&C, 아모레퍼시픽, 에스원, 영풍제지, 태평양, 태평양제약, 텔코웨어, 퍼시스 등 모두 27개사였다.
이는 전년 43개사보다 16개사가 줄어든 것이다.
〈 10대그룹 이자보상배율 현황 〉
※ 공정거래위원회가 ‘09.4월 발표한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중 공기업을
제외한 민간기업 집단의 소속 계열사로서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
상장법인을 대상으로 집계
- 금융업(삼성카드) 제외- 그룹의 경우 ‘07년 회사분할로 인해 직전연도와
실적비교가 불가능한 SK 및 SK에너지를 제외한 나머지 상장 계열사를
대상으로 산출한 수치임
(자료 : 한국거래소, 한국상장회사협의회)
배동호 기자 dhb@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