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 벤처팀 직원들은 요즘 밀려드는 업무의 처리와 함께 ‘청탁’을 거절하느라 이중고를 겪고 있다. 최근 벤처시장이 침체되면서 자금의 주요 공급원이었던 창투사들이 투자를 중단하거나 투자 규모를 축소하자 벤처기업들이 은행으로 몰리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은행의 투자를 받으려는 경쟁이 치열해지고 자연히 아는 사람을 통한 청탁이 빈번하게 이뤄지고 있는 상황이며 은행 임직원은 물론 친인척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전방위 청탁’이 성행하고 있다.
시중은행 벤처팀 담당자는 “최근들어 벤처기업들이 은행으로 몰리면서 업무량이 두배 이상 늘었다”며 “여기다가 수용하기 곤란한 청탁까지 거절하느라고 진땀을 흘리고 있다”고 토로했다. 하지만 청탁을 통해 올라온 기업들이 실제 투자를 받는 경우는 전무한 상황이다. 아예 일부 은행은 청탁이 들어오면 해당기업의 사업계획서를 펴보지도 않고 폐기하고 있는 상황이다. 청탁을 이용할 만큼 사업에 대한 자신감이 결여된 사업계획서는 검토의 여지가 없다는 것. 또한 벤처투자의 경우 비상장주식에 투자하는 관계로 상대적인 리스크가 큰 것도 은행입장에서는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벤처기업에 투자한다고 해서 모두 성공한다는 보장도 없을뿐더러 청탁을 통해 들어온 기업에 투자하는 것은 투자자체가 실패로 끝나게 될 소지가 다분하기 때문이다. 벤처팀 관계자는 “기업이 수익을 창출해야 하는 것은 기본”이라고 전제하고 “단지 아이디어만으로 자금을 유치하기는 어려운 것이 현실”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벤처시장의 상황이 아무리 어렵더라도 확실한 사업모델을 갖고 있는 기업이라면 자금을 유치하는 데 무리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상욱 기자 sukim@kftimes.co.kr
뉴스레터 구독을 위한 이메일 수집 및 수신에 동의하시겠습니까?
뉴스레터 수신 동의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