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채권단이 대두 채권액만큼의 지분을 담보로 하는 방식으로 대우증권의 인수가 진행될 경우 사실상 은행의 지배구조하에 놓이게 되는 것으로, 가능한 한 경영간섭을 배제한 독립경영 체제방식으로 운영되도록 하는게 바람직 하다는 의견이다.
증권업계 전문가들은 은행과 증권은 경영방식에 있어서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성격이 보수적인 은행권이 역동적인 증권의 경영지배가 맡겨질 경우 현재의 대우증권 영업력은 크게 위축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하고 있다.
이관계자들은 또 실제로 은행계열 증권자회사들의 증권업계 현주소가 이같은 문제점을 잘 나타내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은행계열 증권사들은 지난 97년 말 IMF체제 돌이이후 진행된 구조조정과정에서도 잘 드러났듯이 경영상태가 대부분 부실할 뿐만 아니라 경영활동도 크게 위축돼 있는 상태다.
증권업계 관계자들은 대우증권의 경우도 채권단 지배하에 두되 인사 및 경영부문은 철저하게 독립적으로 운영되도록 해야 하며, 지분출자관련 은행에 대우증권의 이익 챙기기 등이 배제되도록 하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채권단의 지배가 장기화 될 경우 결과적으로 대우증권의 발전을 가로막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채권단의 실질적인 지배구조 탈피방안도 적극 마련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임상희 기자 lim@kftimes.co.kr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