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로 본 효(孝)문화의 차별화
근세에 이르기까지 남성위주의 칼이 펜보다 우위였던 서양은 효의 개념이 약했다. 단어 자체가 없어서 합성어를 사용했다. 효는 영어로 ‘filial piety’라고 하는데, ‘filial’은 라틴어 filius(아들)?filia(딸)의 형용사로 ‘자식의’라는 뜻에서 연유한다. 즉 ‘filial piety’는 ‘자식의 존경 혹은 경건’이라는 의미가 있는데, 공경하면서도 두려움이 깔려 있다. 부모의 마음과 몸을 정성으로 보살펴드리는 우리의 ‘효’의 개념이라기보다 아버지에게 복종하는 성격의 서양적인 충(忠, loyalty)에 가까우며, 자연 여자인 어머니의 비중은 약했다.
◇ 일본인의 충(忠)과 효(孝)
한국의 가정과 부모는 효와 사랑이 두루 있었기 때문에 부자뿐 아니라 모자간 갈등도 거의 없었다. 무엇보다 한국의 여자는 경제권이 있었다. 곳간 열쇠는 아버지의 아내요 아들의 어머니가 직접 관리했다. 아들이 가장이 되어도 어머니의 실권은 유지되었다. 아들의 효는 부모에게 똑같이 바쳐지며, 오히려 아버지보다 자상한 어머니에게 더욱 깊다. 겉보기와 달리 한국의 여자는 가정에서 남자와 역할만 다를 뿐 대단한 권력을 행사했다.
◇ 중국인의 효(孝)와 의(義)
이를 중국인은 너무도 아름답게 본다. 홍루몽의 마지막 장면도 눈여겨 볼만하다. 주인공 가보옥이 과거에 합격하고도 호화저택과 가족을 버리고 표표히 산으로 들어간다. 거기에는 뜻이 같은 ‘도반’이라는 의형제가 기다리고 있다. 또한 중국의 재미있는 가족서열을 보자. 아버지의 첩이 낳은 딸은 본부인의 딸과 같은 가족의 서열이 되나, 그 어머니이자 아버지의 첩은 여전히 종의 신분이다.
한국에선 적서의 차별은 있으나, 아버지의 첩도 어머니로서 효의 대상이었다. 한국인에게 가족은 자기 한 몸이나 국가보다 앞서고 효가 충이나 의보다 소중했다.
◇ 현재 한국인의 효(孝)문화
이처럼 한국인의 효는 동서양을 떠나 같은 유교권에서도 확연이 차별화되며 미풍양속의 뿌리이기도 하다. 외국인으로서는 이해하기 힘든 특이한 현상일 것이나, 언젠가 미국입양아 토비 도슨과 흑인혼혈아 하인즈 워드의 이야기가 한국을 울린 적이 있다. 도슨처럼 부모 찾아 삼만리를 헤맬 필요도, 워드처럼 어미니에 대한 효로 눈물지을 필요도 없는 행복한 모국의 현실은 오히려 근대화과정에서 뿌리정신이 많이 희석되었다고 우려하는 소리가 높지만, 그래도 한국에는 여전히 효가 정신문화의 근저에 깔려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가정의 달을 맞아 온가족이 사랑으로 충만하고 행복 가득한 시간되었으면 좋겠다.
관리자 기자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