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LG유플러스가 글로벌 클라우드 사업자인 아마존웹서비스와 협력해 자체 개발한 sLLM ‘익시젠’을 글로벌 시장에 선보인다고 21일 밝혔다. 사진은 LG유플러스 직원들이 자체 개발한 금융특화 sLLM ‘익시젠’을 테스트하는 모습. / 사진=LG유플러스
[한국금융신문 정채윤 기자] LG유플러스(대표이사 홍범식)가 자체 개발한 소형언어모델(sLLM) ‘익시젠’을 아마존웹서비스(AWS)의 인공지능(AI) 마켓플레이스에 선보이며 해외 고객사 공략에 나선다.
LG유플러스는 금융 분야에 특화한 소형 모델 익시젠을 AWS의 ‘아마존 베드록 마켓플레이스’에 제공했다고 21일 밝혔다. 국내 통신사가 AWS 베드록 마켓플레이스에 AI 모델을 등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아마존 베드록’은 다양한 AI 모델을 상용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형태로 제공하는 완전 관리형 서비스다. 사용자는 원하는 모델을 선택해 손쉽게 AI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개발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현재 아마존과 메타(Meta), 프랑스 미스트랄AI(Mistral AI), 캐나다 코히어(Cohere) 등 글로벌 AI 선도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이 플랫폼을 통해 세계 각국의 기업과 개발자들이 익시젠을 기반으로 효율적인 AI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LG유플러스 익시젠은 LG AI 연구원이 개발한 LLM 엑사원을 기반으로, 특정 분야 데이터를 학습시켜 개발한 sLLM이다. 금융 데이터를 학습해 자연어 질의응답, 문서 요약 등 전문화된 자연어 처리(NLP)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실제 성능 평가에서도 기존 엑사원 대비 금융 분야 응답 정확도가 약 31%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LG유플러스는 금융권의 AI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흐름에 맞춰 익시젠을 고도화했으며, 향후 통신·공공·산업계 전반으로 활용 분야를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익시젠은 유해 콘텐츠 필터링과 안전한 학습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신뢰 응답을 제공해 공공·금융 등 보안 민감도가 높은 분야에서의 수요도 기대된다.
전병기 LG유플러스 AX 기술그룹장(전무)은 “이번 AWS와협업을통해성능과안정성을두루갖춘익시젠경쟁력을전세계 AI 개발자들에게소개할수있게됐다”며 “앞으로도지속적인기술개발및글로벌사업자들과협업을통해 AI 경쟁력을확보함으로써 AI 선도사업자로자리매김할것”이라고말했다.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