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일PwC 거버넌스센터가 매년 발표하는 이사회 트렌드 리포트를 참고해 (주)효성과 HS효성 이사회를 평가한 결과 다양성·독립성·전문성·투명성 등에서 100점 만점에 각각 평균 83점, 81점을 획득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내이사에는 조현준 회장(대표이사), 황윤언 전략본부장 부사장(대표이사), 김광오 재무본부장 부사장 등이다. 사외이사는 정동채 전 문화관광부 장관, 유일호 전 경제부총리, 성윤모닫기

HS효성은 사내이사 3인, 사외이사 4인으로 꾸렸다. 조현상 부회장(대표이사), 안성훈 부사장(대표이사), 신덕수 지원본부장 부사장 등이 사내이사로 있다. 사외이사는 권오규 전 경제부총리, 박병대 김앤장법률사무소 변호사, 오병희 인천세종병원 병원장, 이상엽 KAIST(카이스트) 연구부총장 등으로 구성했다.
이는 다른 국내 상장사들도 마찬가지다. 국내 상장 기업들 중 별도 사외이사 의장을 두는 비율은 13%에 불과하다. 미국 S&P 500개 기업(39%)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사외이사는 전직 정치인·관료·교수·법조인을 지나치게 선호한다. 정책 조언을 받고 리스크를 관리하는 차원에서 필요하긴 하지만 효성그룹 사업과 직접적 연관성은 떨어질 수 밖에 없다. 재계 관계자는 “오너를 중심으로 한 경영진이 어떤 의사결정을 내릴 때, 사외이사진이 이를 면밀히 따질 수 있는 전문성이 있는 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나마 HS효성은 바이오 화학 분야에서 활약하고 있는 이상엽 KAIST 연구부총장을 사외이사로 두고 있다. HS효성은 계열사 HS효성첨단소재를 통해 주력 제품인 타이어코드 등에 식물에서 추출한 바이오 원료를 적용하는 신사업을 확대 추진하고 있다.
이사회 내 위원회 운영도 닮은 꼴이다. 두 회사 모두 ESG경영위원회,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감사위원회, 보상위원회 등을 설치했다. 이 가운데 감사위원회만 전원 사외이사로 운영되고 있다. 나머지 위원회에는 대표이사 1명이 함께 참여한다. 재계 관계자는 “회사 의사결정에 대한 평가를 내리는 위원회에 의사결정 당사자인 경영진이 참여한다면 독립성과 견제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실제 효성그룹 계열사들은 이사 보수한도를 지나치게 높게 설정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효성은 올해 주총에서 이사 8인에 대한 보수한도를 300억원으로 설정했다. HS효성은 7인, 150억원이다. 국내 주요 그룹 지주사인 SK(8인, 180억원), LG(7인, 170억원), 포스코홀딩스(11인, 100억원) 등과 비교하면 과도하다는 지적은 타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곽호룡 한국금융신문 기자 horr@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