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회장이 지난달 24일 투자자 서한에서 "홈플러스의 기업회생이 언론에 약간의 잡음을 일으켰다(The Homeplus rehabilitation generated some noise in the press)"고 밝혀지자 나온 발언이다.
특히 MBK와 홈플러스에 대한 금감원과 공정위, 금융위 나아가 고소고발에 따른 검찰의 수사 가능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홈플러스 사태를 일으킨 MBK의 수장으로서 안이한 인식을 드러낸 것을 두고 공분이 일고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 1일 금융감독원은 MBK와 홈플러스를 조사한 결과를 일부 발표하며, 그들의 해명과 달리 기업회생절차 신청을 준비하며 채권을 발행한 것으로 보인다는 정황을 포착했다고 설명했다. '사기죄'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 것이다.
김 회장은 "고려아연 인수는 세계 최고의 멀티메탈 제련소의 '적대적 인수'라는 선정적 헤드라인으로 주목받고 있다"며 "우리는 경영 투명성을 구현하고 지배주주의 이익을 모든 주주의 이익과 일치시키기 위해 최대주주의 백기사 역할을 하고 있고, 이번 거래는 지배구조 중심 거래의 물결을 일으키는 분수령이 될 것이라 믿는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MBK는 IB업계의 비판에도 지난 고려아연 주주총회에서 홈플러스 대표이사로 있는 김광일 MBK파트너스 부회장을 고려아연 이사회 이사진에 합류시켰다.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