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전자는 11일 서울 강서구 LG사이언스파크에서 ‘2025 LG 올레드·QNED TV 신제품 브리핑’을 진행했다. 이날 LG전자는 AI 등 핵심 프리미엄 상품성을 강화한 2025년형 올레드·QNED TV는 물론 올해 사업 전략에 대해 소개했다.
다만 올해는 마냥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먼저 TCL 등 중국 업체의 추격이 거세다. LCD TV 시장에서 한국 추격에 성공한 중국 업체들은 올해 OLED TV 등 본격적인 프리미엄 TV 시장에서 점유율 확장에 나서고 있다. 실제 지난해 프리미엄 TV 시장 4분기만 놓고 보면 중국의 TCL이 점유율 20%로 LG전자를 역전했다.
LG전자는 올해 프리미엄 TV 시장 점유율 격차를 위해 차별화된 AI 기능, 독보적 화질, 차원이 다른 편의성 등 프리미엄 TV 핵심 요소를 앞세워 신제품의 경쟁력을 강화했다. 이를 바탕으로 대표적인 프리미엄 제품인 올레드 TV와 프리미엄 LCD TV인 QNED TV를 통한 ‘듀얼 트랙(Dual-Track) 전략’으로 글로벌 프리미엄 TV 시장에서 리더십을 지속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이어 “LG전자의 AI TV 라인업은 알파8, 알파11 등 독자적인 AI CLQ(SoC) 기술에 오랜 시간 투자를 이어왔다”며 “독자 스마트 TV 플랫폼 ‘webOS’도 매년 업그레이드 되는 등 프리미엄 초격차를 지속적으로 벌려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신형 제품들의 AI 기능 등을 시연한 허승현 LG전자 AI서비스개발팀장은 “기존 AI 서치 기능에서는 힘들었던 자연어처리를 대화만으로 사용자를 파악해 상황에 맞는 답을 도출해 제공한다”며 “신형 제품의 AI 챗봇은 마이크로소프트의 코파일럿, 챗 GPT4, 구글 제미나이가 탑재돼 보다 발전한 초개인화 경험을 선사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LG전자는 최근 글로벌 리스크로 떠오른 트럼프닫기

백선필 상무는 "생산 거점을 새로 마련하는 것은 단지 공장을 짓는 것을 넘어 공단 확보 등 복잡한 문제"라며 "관세를 피하는 것보다 관세 영향을 적게 받는 방향으로 검토 중이다. LG전자는 이미 세계 전역에 여러 생산 거점을 보유하고 있는데 지금 보유한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하려고 한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도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이 워낙 유동적인 만큼 상황을 예의 주시 중”이라며 “당장의 미국 현지 투자를 확대하는 계획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김재훈 한국금융신문 기자 rlqm93@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