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D현대는 최근 8000TEU(1TEU=20피트 컨테이너 1개)급 컨테이너운반선에 자율운항 및 원격제어 기술을 적용해 통합 실증을 수행, 한국선급(KR)과 라이베리아기국(LISCR)으로부터 기본 인증(AIP)을 잇달아 획득했다고 28일 밝혔다.
국제해사기구(IMO) 선박 자율운항 단계에 따르면 ▲1단계 선원의 의살결정을 지원하는 수준 ▲2단계 선원이 승선한 상태에서 원격제어하는 수준 ▲3단계 선박에 탑승한 선원 없이 원격제어하는 수준 ▲4단계 완전 자율운항 기술이다.
원격제어 설루션은 원격 조타 및 선속 제어뿐만 아니라 선박 운영 환경의 특수성을 고려해 항해 중 발생할 수 있는 통신 지연, 돌발 상황, 사이버 위협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설루션이다.
HD현대는 세계 최초로 대형 상선에 대해 복수 원격운영센터(ROC) 간 제어권 전환 기술을 선보였다. 이 기술은 선박이 장거리 항로를 운항할 때 하나의 ROC에서 다른 ROC로 제어권을 전환시켜줌으로써 원격 운항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해준다.
이번 실증에서 울산 HD현대중공업에 위치한 통합 디지털 관제센터와 경기도 성남시 HD현대 글로벌R&D센터(GRC)내 위치한 디지털 융합센터 간 제어권 전환이 이뤄졌다.
현재 자율운항 선박은 선원법, 항만법, 해상교통안전법 등의 규제로 인해 실증이 어려운 환경이다. HD현대는 산업통상자원부 및 해양수산부에서 주관하는 ‘첨단산업 분야 기획형 규제 샌드박스 사업’을 통해 조건부 승인을 획득하며 ROC에서의 조종 및 혼잡 해역 내 충돌 회피 등 실증을 마쳤다.
신혜주 한국금융신문 기자 hjs0509@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