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프트업은 오는 26일 액션 어드벤처 장르의 콘솔 신작 스텔라 블레이드를 글로벌 정식 출시한다. 스텔라 블레이드는 시프트업이 서브컬처 흥행작 ‘승리의 여신:니케(니케)’ 이후 선보이는 작품으로 글로벌 게임사 소니인터랙티브엔터테인먼트(SIE)가 처음으로 직접 퍼블리싱하는 국산 게임이다. 글로벌 서비스도 플레이스테이션(PS)5에서 독점으로 진행한다.
업계에서는 이 같은 스텔라 블레이드의 행보에 정식 출시 후에는 글로벌 시장에서 약 400만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는 국산 콘솔 게임 역대 글로벌 판매 1위에 해당하는 기록이다.
스텔라 블레이드의 흥행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올해 상장을 준비하고 있는 시프트업의 기업 가치상승에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시프트업은 올해 3월 5일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본부에 상장예비심사 신청을 접수하며 상장을 공식화했다. 특히 게임업계에서 2021년 크래프톤 이후 첫 대형 IPO(기업가치 1조원 이상) 기대주로 관심을 받고 있다. 시프트업의 대표 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JP모건으로 상장예정주식수는 총 5802만5720주, 공모예정주식수는 725만주다.

시프트업은 2013년 국내 스타 일러스트 김형닫기

데스티니 차일드 이후 시프트업은 2022년 서브컬처 게임 니케를 출시하며 국내 대표 서브컬처 게임사로 올라섰다. 니케는 국내는 물론 서브컬처 본고장인 일본에서도 매출 최상위권을 차지하며 흥행에 성공했다. 니케의 흥행 덕분에 시프트업은 2022년 영업이익 약 222억원을 기록하며 2019년부터 이어진 약 3년간의 적자행진을 마감했다.
특히 니케가 2022년 11월 출시임을 고려하면 약 한 달간의 성과만으로 회사의 흑자를 이끈 것이다. 글로벌 모바일 게임 조사업체 센서타워에 따르면 니케는 지난 2월 기준 글로벌 매출 1조원을 돌파하는 등 여전한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 시프트업의 지난해 영업이익도 2022년 대비 무려 508% 증가한 약 1111억원으로 집계됐다.
이처럼 니케가 여전히 든든한 캐시카우 역할을 하고 있는 만큼 스텔라 블레이드 2연속 흥행에 성공한다면 시프트업의 기업가치는 더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시프트업의 기업가치는 약 2조원에 육박한다. 지난해 11월 시프트업의 초기 투자자였던 위메이드가 중국 텐센트 계열사 ‘에이스빌’에 시프트업 지분 4.3%(0208만6080주)를 매각할 당시 산정된 기업가치가 약 1조9456억원으로 집계됐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시프트업이 스텔라 블레이드까지 흥행에 성공한다면 기업가치가 약 4조원에 이를 수 있다고 전망한다. 아직 니케에 대한 매출의존도가 높은 만큼 스텔라 블레이드로 매출원을 다양화해 기업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 시프트업이 신규 프로젝트 개발을 위한 채용을 시작한 것도 더 다양한 IP 확보로 기업가치를 높이기 위한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한 투자업계 관계자는 “게임사의 기업가치를 결정하는 가장 큰 요인 중 하나가 다양한 자체 IP 보유 여부”라며 “시프트업은 니케를 통해 개발력은 물론 지난해 영업이익률이 66%에 이르는 등 이익창출력도 증명한 상태로 곧 출시하는 스텔라 블레이드까지 성공한다면 기업가치는 현재 시장 전망치보다 더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재훈 한국금융신문 기자 rlqm93@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