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는 대신 현대로템과 우주산업 협력을 가속화하고 있다. 재사용발사체 개발을 위한 양사의 워킹그룹도 가동했다. 현대로템은 메탄엔진 등에서 앞선 개발력을 보유하고 있는데, 메탄엔진은 재사용발사체 개발에 있어 기존 케로신엔진보다 용이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현대로템은 더나아가 재사용발사체 기본기술을 보유한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페리지)와도 추가로 협약을 맺었다.
12일 KAI에 따르면 10일(현지시간) 미국 콜로라도 스프링스에서 열린 제39회 우주 심포지움에 참석해 글로벌 우주 기업들과 우주 모빌리티 사업 협력을 논의했다.
강구영 KAI 사장은 글로벌 선진 우주기업 CEO(최고경영책임자)들과 직접 만나 재사용발사체,우주비행체 등 우주모빌리티 국제공동개발 및 우주 서비스 시장진출을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KAI는 지난 2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던 차세대발사체 주관 제작사 입찰에 불참하며 관심을 모았다. 주관 제작사 자리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가져갔다. 대신 KAI는 주관사가 아닌 참여기업으로는 이름을 올렸다.
대신 KAI는 현대로템과 우주사업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를 체결하고 워킹그룹 가동에 나섰다. 양사는 재사용발사체, 우주비행체 등 우주모빌리티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공동 사업화에 나선다.
KAI가 현대로템과 손잡은 이유는 현대로템의 메탄 엔진 기술력 때문이다. 최근 메탄 엔진은 재사용발사체용 엔진으로 주목받고 있다.
누리호 등 한국형발사체는 등유(케로신) 액체로켓엔진이 탑재돼 왔다. 케로신 엔진은 미국·러시아 등 우주강국들이 전통적으로 사용하던 엔진이다. 아폴로 11호를 달로 쏘아올린 새턴 5호도 케로틴 방식이다.
케로신 엔진은 휘발성이 낮아 다루기 쉽다는 장점이 있지만 엔진 내부에 점착되는 탄소 찌꺼기가 많고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어 재사용발사체에는 적합하지 않다.
반면, 메탄 엔진은 찌꺼기가 거의 발생하지 않아 재사용 횟수가 늘어난다. 현대로템 관계자는 “메탄 연료 자체도 상대적으로 값쌀 뿐 만 아니라 그을림이나 재 등 찌꺼기 적어 정비범위가 축소되면서 가성비가 좋다”고 설명했다.
현대로템은 1990년대부터 충청남도 서산에 시험장을 짓고 메탄 엔진 개발에 나섰다. 그러나 모기업인 현대자동차그룹 사업방향과 맞지 않아 2010년대 중단됐다가 다시 최근 들어 메탄엔진 개발에 나섰다.
현대로템은 사업개발 중단으로 인한 공백을 페리지와의 업무협약을 통해 일정 부분 보완했다.
지난 8일 현대로템 관계자들은 충청북도 옥천 페리지 로켓개발컴플렉스를 방문해 페리지가 개발 중인 우주발사체 블루웨일1의 개발 현황과 각종 시설을 둘러보고 향후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지난해 페리지의 시험기체인 ‘블루웨일 0.3’은 고도 100m까지 수직으로 올라가 호버링(정지비행) 후 정해진 위치로 수직 착륙하는데 성공했다. 전세계적으로 화제가 된 미국 스페이스X 스타십의 수직이착륙을 부분적으로 재현하는데 성공한 셈이다.
현대로템 관계자는 “페리지와의 협력은 궁극인 목표는 스페이스X의 사례와 같이 재사용 발사체 개발”이라고 말했다.
홍윤기 한국금융신문 기자 ahyk815@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