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 결과 외국어나 외래어가 포함되지 않은 정책명, 외국 문자 없이 한글로만 표기된 정책명을 알기 쉽다고 응답했습니다. 그러나 ‘그린 리모델링’과 같이 일상에서 널리 쓰이는 외국어는 어렵지 않다고도 인식했습니다.
분석결과 쉬운 것으로 선정된 정책명은 1위에 ‘걷기 좋은 천리길’, 3위에 '지능형 인재개발체계', 5위에 '그린 리모델링'이 선정됐습니다.
반면, 어려운 정책명으로는 1위에 'QbD 제도', 3위에 '스마트 컨', 5위에 '면탈조장정보 DB'처럼 내용을 가늠하기 어려운 로마자, 외국어, 어려운 외래어 및 한자어가 포함된 정책명이 선정됐습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경제적 이득으로 돌아올 수 있습니다.
2021년 조사 결과에 의하면 민원 서식, 약관 및 계약서류의 어려운 용어들을 개선하면 약 3,496억 원의 시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책명에 못지않게 많은 용어를 생산하는 곳이 금융권입니다.
금융상품명에서부터 약관, 계약서 등 일반 국민과 상대하는 많은 문서에서 용어의 어려움으로 심심치 않게 애로를 호소하고 있습니다.
이번 조사에서 나타난 금융권의 실태에서도 전반적인 정책명이나 뜻풀이 이해도가 평균에 못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그러나 금융정책명의 이해에 있어서는 도시와 농촌 간 다소 차이가 있긴 하지만, 남녀와 연령대별, 학력 및 직업 간의 격차가 대상별로 용어를 달리해야 할 만큼 큰 격차를 보이는 것은 아니었습니다.
금융용어는 다른 용어와 달리 생활 속에서 일상적으로 접하는 용어이기 때문에 이해가 부족할 경우 금전 피해까지도 우려되는 중요한 용어입니다.
그러한 점에서 금융권에서는 한글을 중심으로 누구나 알 수 있는 익숙한 용어를 사용하고, 특수한 전문 외래어나 단축어, 축약어 등은 부기를 하여 그 뜻을 알 수 있도록 괄호 표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일반 국민 모두를 상대하는 용어이기 때문에 만드는 사람도 쉽게 만들어야 하지만, 금융을 이용하는 소비자도 그 용어를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합니다.
특히 금융자산의 상당 부분을 점유하고 있는 노년층에게는 일반 금융교육도 중요하지만, 급속히 확산되는 디지털 금융교육이 더욱 절실합니다.
금융소외계층에 대한 금융 및 디지털 활용에 필요한 교육은 금융권에서도 체계적으로 준비하여야 합니다.
※ 한국금융신문은 국어문화원연합회와 ‘쉬운 우리말 쓰기’ 운동을 함께 합니다.
허과현 기자 hkh@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