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블록체인·NFT…신(新)사업 확장
1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미래에셋그룹은 그룹 산하에 신규 설립 예정인 ‘디지털자산 전문회사’에 소속될 경력직 인력 모집을 자회사인 미래에셋컨설팅을 통해 공고를 내고 채용하고 있다.가상자산 수탁사업의 경우 일종의 ‘코인 은행’이라고 할 수 있다. 그룹 차원에서 신규 법인 설립을 검토하고 있다.
미래에셋그룹 측은 “디지털자산 전문회사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NFT(대체불가토큰)를 비롯한 다양한 디지털자산의 기관 대상 서비스를 연구 및 개발한다”고 소개했다.
최현만닫기최현만기사 모아보기 미래에셋증권 대표이사 회장은 2022년 신년사에서 “암호화폐, 블록체인, 메타버스, NFT 등 디지털 기술과 자산의 등장은 새로운 시장과 비즈니스를 만들어냈고, 이러한 변화를 빠르게 포착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한 기업은 새 시장의 강자로 성장했다”며 “미래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적극적으로 찾아 추진하자”고 제시한 바 있다.
NFT 관련 투자도 부각된다. 지난 3월 7일(현지시간) NFT 게임 갓언체인드, 길드오브가디언즈 등을 개발한 이뮤터블(Immutable)은 테마섹 주도 시리즈 C 투자 라운드를 통해 2억 달러를 조달했는데, 이 중 미래에셋도 신규 투자자로 참여했다.
금투업계에 따르면, KB자산운용은 2022년 2월 ‘디지털자산운용 준비위원회’를 출범했다. 위원회는 인덱스퀀트 운용본부가 주축이 된다. 상품, 준법, 리스크, 전략 등 9개 부서에서 팀장급 인력이 투입돼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하고 있다.
KB자산운용 측은 “국내·외 디지털 자산시장 리서치를 통해 관련 상품의 선제적 출시를 준비할 예정”이라며 “가상자산 현·선물에 투자하는 ETF(상장지수펀드)로 구성된 재간접펀드, 가상자산 테마의 주식형펀드 등을 최대한 빨리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특히 KB자산운용은 관련 개발 상품을 퇴직연금 및 OCIO(외부위탁운용관리) 시장에서 활용한다는 구상을 하고 있다.
가상자산 인덱스지수 개발을 통한 펀드 출시 외에도 전통자산과 낮은 상관계수를 활용한 자산배분펀드, 해외 가상자산들을 활용한 원금보장추구형 상품 개발 등이 해당된다. 시간불변 포트폴리오 보험전략펀드와 가상자산이 포함된 혼합형펀드도 검토하고 있다.
KB자산운용 측은 “주요국의 가상자산 도입 속도를 감안해 국내 규제완화 이후 가장 신속한 상품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SK증권(대표이사 김신닫기김신기사 모아보기)도 외부 제휴를 통해 디지털자산 사업 선점에 뛰어들었다.
SK증권은 2021년 5월 코인거래소 지닥을 운영하는 피어테크와 디지털자산 수탁 서비스 협약을 맺었다.
아울러 SK증권은 2022년 1월 부동산 조각투자 플랫폼 기업 펀블과 업무협약을 맺고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디지털 유동화 시스템 구축을 본격화 한 바 있다.
SK증권 측은 “제도권 내 디지털자산 시장 선점을 위해 다양한 기업들과 적극 협업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화투자증권(대표이사 권희백)은 블록체인·핀테크 기업인 두나무 투자로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한화투자증권 측은 “블록체인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두나무는 자사가 추진하는 다양한 혁신금융 서비스에 최적화된 기술을 적용하고 협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예탁결제원(사장 이명호닫기이명호기사 모아보기)의 경우 디지털금융 혁신 기반 마련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예탁원은 2022년 6월까지 가상자산의 제도적 수용 방향 연구용역을 통해 가상자산 입법을 지원하고, 11월에 증권형토큰(STO) 플랫폼 구축 중장기 로드맵을 선보이기로 했다.
해외보다 ‘보수적’ 접근…“제도화 전제돼야”
현재 가상자산 관련 입법은 자금세탁방지(AML)에 초점을 맞춘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특금법)’이 시행 중이다. 전체적인 가상자산업권법은 아직 논의 테이블에 올라와 있다. 한 금투업계 관계자는 “가상자산, NFT 등 디지털자산 사업은 국내 제도화에 발맞춰 단계적으로 준비할 수밖에 없어서 일단 보수적으로 접근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디지털자산 시장 진출 해외동향을 보면 우리보다 선제적이다.
한아름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원은 ‘디지털자산 커스터디 서비스 현황 및 시사점’ 리포트에서 글로벌 IB 등이 선제적으로 디지털 자산 커스터디 사업에 진출하고 있고, 국가 별 규제 요건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블록체인 업체와 합작 법인을 설립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참여하고 있다고 제시했다.
한아름 자본연 연구원은 “현재는 가상자산에 대한 보관 및 매매가 디지털자산 커스터디 업체의 주요 제공 서비스이지만, 디지털자산 관련 결제·정산 업무와 운용 업무까지 사업영역을 확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