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날 오후 3시 CJ대한통운 본사 앞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김태완 택배노조 수석부위원장이 "점거 농성을 해제한다"고 말했다. 다만 택배노조 측은 CJ대한통운과 대화할 때까지 파업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CJ대한통운 대리점연합은 "불법행위 중단을 전향적 조치라고 포장하지 말라"며 유감을 표했다. 대리점연합 측은 "파업 지속은 국민과 소상공인, 대다수 비노조 택배기사가 겪는 고통이 지속된다는 의미다"며 택배노조의 명분 없는 파업을 즉각 중단하라고 주장했다.
같은 날 서울경찰청은 택배 노조 점거와 관련해 총 25명에게 출석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CJ대한통운 측은 4차례에 걸쳐 고소장을 접수했으며 그 중 피의자는 25명인 것으로 전해진다.
앞서 택배노조는 과로사 방지를 위한 사회적 합의에 따른 택배 요금 인상분 대부분을 CJ대한통운이 챙기고 있다고 주장하며 지난해 12월 28일부터 63일째 파업을 이어가고 있다. CJ대한통운 측은 "업계 최고 수준의 처우를 제공하고 있다"며 반박하고 나섰다.
지난달 24일 국토교통부(국토부)의 사회적 합의 이행 상황 현장실사 결과 '양호한 상태'라고 발표했다. 이에 업계는 '노조의 명분 없는 무리한 파업'이라고 비판했다.
지난 10일 본사 점거 농성을 진행한 택배노조는 21일 3층 점거 농성을 해제했다. 지난 23일부터 CJ대한통운 대리점연합과 택배노조는 비공개로 대화를 시도했으나 25일 결렬됐다. 진경호 택배노조 위원장은 택배 파업과 관련한 아사(餓死)단식을 진행했으며 26일 건강이 나빠져 병원으로 이송됐다.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