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신문 허과현 기자] (사)국어문화원연합회(회장 김미형)가 공공언어 개선의 경제적 효과를 발표했다. 현대경제연구원에 의뢰해 연구한 결과에 의하면 공공언어 개선의 연간 경제적 효과는 3375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연구는 2021년 7월 23일부터 8월10일까지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11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다.
이번 연구에서 가장 큰 변화는 민원 서식 부문으로, 2010년 170억 원이던 시간 비용이 2021년에는 11.5배가 늘어난 1952억 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공공언어의 범위가 확대되고 디지털 매체의 보급이 보편화되면서 국민이 공공언어에 접근할 기회가 많아져 생긴 시간비용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국민의 어려운 공공언어 때문에 느끼는 심리적 스트레스지수도 조사했다.
국민은 어려운 공공언어를 경험할 때 평균보다 높은 스트레스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언어에 대한 난이도에서는 32%가 이해하기 어렵다고 답했지만, 바꿨으면 하는 항목에서는 낮선 한자어 등 어려운 단어가 6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그 다음은 외국어나 외래어와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문장(37%)이 뒤를 이어서 공공언어를 사용함에 있어 국민과 눈높이를 맞추지 못한 언어 사용이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시급히 개선했으면 하는 분야는 증권이나 보험 등의 약관과 계약서 등이 38%로 가장 높았고, 법령이나 판결문(33%), 신문이나 방송언어(24%), 안내판, 표지판(24%), 민원서류양식(24%)등이 그 뒤를 이었다.
일반 국민이 어려운 공공언어로 받는 스트레스는 몰라서 답답하고 불편함이 가장 크지만, 당혹스럽고 피곤할 뿐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위축되거나 무시당하는 느낌마저 들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언어를 국민들 눈높이에 맞춰 고쳐야 하는 이유는 정확한 정보제공을 위해서도 필요하지만, 어려운 용어로 인한 불필요한 심리적 스트레스나 세대 간, 계층 간 정보습득의 차이를 방지하기 위해 더욱 필요하다. 또한 공공언어의 개선은 쉬운 이해를 통해 정부 업무의 처리 시간도 단축 할 수 있어 효율성 향상에도 많은 도움이 된다.
공공언어는 국민 모두를 쉽게 이해시키는 정보 전달 수단이기 때문에 공익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공공언어가 사용되는 범위는 민원서식 뿐 아니라 정책 용어, 안내판, 약관과 계약서는 물론, 공문서, 언론 용어까지도 모두 포함된 개념이다.
공익적 기능을 수행하는 공공언어가 공익적 가치를 높이려면 공공언어의 종류마다 공익적 기능을 발굴하고 이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방향으로 꾸준한 개선노력을 펼쳐야 한다.
허과현 기자 hkh@fntimes.com
뉴스레터 구독을 위한 이메일 수집 및 수신에 동의하시겠습니까?
뉴스레터 수신 동의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