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ce 1992

대한민국 최고 금융경제지

닫기
한국금융신문 facebook 한국금융신문 naverblog

2024.04.20(토)

[위고의 생활속 블록체인 ⑰] 신뢰할 수 있는 기부문화, 블록체인으로 가능하다

기사입력 : 2021-10-05 20:06

(최종수정 2021-10-05 20:16)

  • kakao share
  • facebook share
  • telegram share
  • twitter share
  • clipboard copy
ad
ad
“경제는 나 같은 부자를 더 부자로 만들어주지만,
가난한 사람에게 작동하지 않기에 기부가 필요하다.”

- 워렌 에드워드 버핏(Warren Edward Buffett) -

기부와 나눔, 또는 봉사에 관한 미담(美談)을 들으면 가슴이 뭉클하다. 치열하게 경쟁하고 다투는 현대 사회에서 인간의 정(情)을 느끼게 해주니 말이다.

기부는 누군가에 대한 배려이자 기회의 나눔이 아닐까.

선행에 앞장서는 기부자들은 도움이 필요한 누군가에게 힘이 될 수 있다는 믿음으로 기부를 한다. 선행은 또 다른 선행으로 이어지는 기폭제 역할을 하며, 이러한 선순환을 통해 기부문화의 싹을 틔우게 될 것이다. 우리가 기대하던 이상적인 기부문화는 그런 모습일 것이라고 믿는다.

[위고의 생활속 블록체인 ⑰] 신뢰할 수 있는 기부문화, 블록체인으로 가능하다이미지 확대보기


그러나 2016년부터 발생했던 비영리기관 투명성 관련 사건 3종 세트인 새희망씨앗 사건, 이영학 사건, K스포츠-미르재단 사건 이후, 비영리기관에 투명성과 신뢰성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후에도 기부단체 관련 비리, 횡령 등 부정적 뉴스는 끊임없이 들려오고 있다. 최근에도 많은 기부금이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 아닌 기부단체 관계자의 주머니로 흘러가고 있다는 기사들..., 그래서일까?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19년까지 매년 기부율이 하락하고 있다고 한다.

자료: 국가통계포털이미지 확대보기
자료: 국가통계포털
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경제적 여유가 없어서”는 줄었다. 이에 반해 “기부단체 등 불신”은 크게 증가했다. 기부단체에 대한 불신이 기부율 하락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짐작하는 이유다. 그렇다면 기부단체에 대한 신뢰도를 제고시키고 기부 문화를 확산시킬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자료: 국가통계포털이미지 확대보기
자료: 국가통계포털
기부문화 확산을 위해 “사회 지도층과 부유층의 모범적 기부 증대”가 43.9%로 가장 많으며, “기부단체의 자금 운용 투명성 강화”가 30.1%로 그 뒤를 이었다. 이제 투명성을 강화하면서도 비영리단체의 자율성이 침해되지 않는 신뢰성있는 기부문화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본다. 그리고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블록체인 플랫폼이 해답이 되지 않을까 싶다.

블록체인은 어떻게 "기부 시스템 민주화"의 해답이 될 수 있는가

블록체인을 기술적 측면이 아닌 사회과학적 측면에서 살펴보자. 블록체인은 노드(사용자)의 합의를 통해 의사결정이 이뤄진다. 투표를 통해 과반수의 찬성을 얻은 의제가 통과되는 것과 같은 원리다. 즉, 소수에 의해 의사결정이 이뤄지는 것이 아닌, 다수결의 원칙을 채택하고 있다는 것이다. 블록체인 시스템을 민주주의로 비유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사진: Pexels이미지 확대보기
사진: Pexels

현재 대부분의 기부단체는 후원금을 중앙에서 관리한다. 이러한 단체들은 후원자와 일반인들 모두에게 운영 과정과 자금 흐름을 투명하게 공개한다고 약속한다. 그러나 이는 중앙에서 관리된 일부 정보에 불과한 경우가 많다. 기부단체는 마음만 먹으면 유리한 정보만 선별하여 공개하고, 불리한 정보는 숨길 수 있다. 기부단체에 대한 불신을 야기한 것이 바로 중앙화된 관리 시스템이지 않을까 싶다.

[위고의 생활속 블록체인 ⑰] 신뢰할 수 있는 기부문화, 블록체인으로 가능하다이미지 확대보기
기부 시스템에 블록체인을 접목하면 탈 중앙화된 의사결정 및 정보 관리를 할 수 있다. 기부 내역은 중앙이 아닌 노드로 참여한 기부자에 의해 분산 저장 및 관리되기 때문에 누구에게나 투명하게 공개된다.

[위고의 생활속 블록체인 ⑰] 신뢰할 수 있는 기부문화, 블록체인으로 가능하다이미지 확대보기
의사결정 또한 다수결의 원칙에 따른다. 보유한 지분에 따라 의사결정 권한이 부여되는 이더리움의 지분증명(PoS, Proof of Stake) 알고리즘을 벤치마킹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기부자는 자신이 기부한 금액만큼 지분을 갖게 되며, 지분에 따라 의결권을 갖게 된다. 즉, 기부자이자 운영 참여자가 되는 것이다. 기업의 주주들이 주주총회를 통해 의사결정에 참여하고, 국민의 투표를 통해 민의(民意)가 반영되는 것과 같은 과정이라고 볼 수 있겠다.

자료 :위고컴퍼니이미지 확대보기
자료 :위고컴퍼니

국가의 주권은 국민에게, 기부 시스템의 주권은 기부자에게

블과 몇 년 전, 우리는 경험을 통해 소중한 한 표가 국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명히 보았다. 이러한 경험을 통한 효능감 또한 분명히 느꼈을 것이다. 기부 문화 또한 같다고 생각한다. 기부자의 한 표가 모여 의사결정이 이뤄지고, 모든 과정이 투명하게 공개된다면 모두가 믿을 수 있는 기부 문화를 만들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이러한 기부 문화는 사회 지도층과 부유층의 모범으로 이어져 기부 문화 활성화의 새로운 시작이 되지 않을까 기대해 본다.

(도움말 : 이상도 한국교통대학교 복지-경영학 교수)

김준영 이사, 정종연 연구원(위고 블록체인연구소)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issue

오피니언 BEST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