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건형 연구원은 "우리는 재고 재축적, CAPEX, 정부 정책이 그려갈 제조업 르네상승 시대를 맞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하 연구원은 "제조업은 2018년을 기점으로 공급과잉에서 수요 우위로 전환됐다"면서 "코로나 사태는 재화 소비의 반사수혜를 야기하며 타이트한 수급을 심화시켰다"고 지적했다.
시차를 두고 경제 정상화가 예상되나 제조업 제반 여건을 우호적이라고 풀이했다.
하 연구원은 "수요 우위 속 기업 수익성 개선, 공급 차질 회피 및 가격 인상 부담 완화를 위한 선제적 제고 확보, 긍정적 기업 심리 및 정부 지원 등에 등에 CAPEX 확대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그는 "서비스업에 비해 제조업은 수입유발계수가 높아 선진국 수요 개선의 낙수효과가 재개될 것"이라며 "경기 주기는 좀더 길어지고 진폭은 재차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이번 경기 정점은 내년 초 이후가 될 것으로 봤다.
하 연구원은 또 "재화 물가는 일시적으로 상승 압력이 확대되나 공급 재개가 되는 내년 하반기부터는 오름세가 완만할 것"이라며 "성장세에 비해 고용 증가세는 완만해 빠른 경기 회복에도 점진적인 통화정책 정상화가 에상된다"고 덧붙였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