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락 연구원은 "한국이나 미국 모두 적극적인 재정확대에 따른 국채 물량 부담이 큰 상황에서 통화당국의 대응이 절실한 상황"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금융여건(FC)은 파월 의장의 발언을 통해 추후 구체화 과정을 거칠 것"이라며 "파월 의장은 최근 금리 상승에 주목한다면서도 금융여건에 주목할 가능성을 시사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파월은 또 금융여건이 타이트해진다면 대응할 여지를 남겼는데, 실제 순항을 이어오던 금융여건 지표들은 최근 국채 금리의 상승을 의식하며 조금씩 높아진 긴장의 강도를 반영하기 시작했다"고 덧붙였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