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6일 행복연구센터는 서울 및 지방 4대 광역시에 거주하는 40대를 대상으로 자산관리에 대한 생각의 변화를 살펴봤다고 밝혔다.
40대 소득자 중 78.2%는 이미 주식, 채권, 펀드 등을 보유한 금융투자자다. 그런데 이들 중 절반 이상(57.4%)은 앞으로도 투자규모를 늘릴 계획이다. 투자자가 아닌 경우에도 61.0%는 ‘자금 · 시간 · 정보 부족’이 해소되는 등 여건이 허락하면 투자를 시작한다는 생각이다.
‘저금리 지속’과 ‘투자를 안하면 목돈 마련이 쉽지 않을 거라는 생각’이 투자를 확대한 가장 큰 이유다. 더불어 40대 초반은 ‘주택(부동산) 등의 가격 상승’, 40대 후반은 ‘향후 가구소득이 그리 늘지 않을 것’을 투자 확대 이유로 들었다.
40대의 투자확대는 최근 1~2년 사이에 두드러졌다. 투자자 중 절반(43.6%)은 최근 1~2년 사이에 투자를 확대했다. 15.0%는 최근 1년 사이 처음 투자를 시작했다. 38.0%는 최근 자신의 리스크 선호도가 바뀌었다고 답했는데, 보수적으로 바뀐 경우(12.0%)보다 공격적이 된 경우(26.0%)가 배 이상 많다. 종전보다 공격적이 된 데에는 지속되는 저금리와 함께 최근 증시 활황의 영향도 컸다.
4명 중 1명(24%)이 ‘투자기회(타이밍)를 찾으면서’ 자신의 리스크 선호도가 높아졌다고 답했다. 특히 소득수준이 높을수록(9~10분위) 투자기회를 찾은 영향이 컸다. 리스크 선호도가 높아진 경우 직접투자를 선호했고, 금융투자상품 중에서는 ETF에 대한 관심이 높다.
최근 투자 움직임에도, 투자손실 감수 의향이 낮은 투자자가 대다수인 현실이다. 투자자 2명 중 1명(54.5%)은 여전히 ‘투자원금 보전’을 원하거나 ‘-5% 미만’의 손실을 감수할 수 있다고 응답했다. ‘-10% 이상’의 손실도 허용하겠다는 공격적인 투자자는 15.8%에 불과했다. 투자규모 확대에 따르는 리스크에 대한 이해와 관리해법 등, 보수적인 투자자에 맞춘 관리전략이 필요한 셈이다.
이원주 하나은행 연금신탁그룹장은 “40대는 평생 가져갈 재산형성 시기이면서 자녀교육, 주택마련, 끝나지 않은 자기계발 등 여러 인생과제에도 놓인 만큼 세심한 투자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권혁기 기자 khk0204@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