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이 코로나19 관련 기업에 대한 금융 지원에 적극 나서면서 2020년 6월말 현재 대출증가율(10.1%, 전년동기대비)이 2013년 9월말 이후 처음으로 비은행(10.0%)을 상회했다.
보증부(20.6월말 20.9%, 전년동기대비) 및 신용(10.0%) 대출 증가율이 담보대출(6.8%)을 크게 상회하면서 담보대출 비중이 하락했다.(19년말 54.8%→20.6월말 53.0%)
기업대출의 경우도 코로나19에 대응하여 소상공인에 대한 보증부 대출이 크게 늘어났으며, 그간 감소세를 지속하던 신용대출도 증가로 전환됐다.
코로나19 이후 기업·가계의 채무상환능력이 저하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만기 미도래,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이자 부담 경감 등으로 고정이하여신비율, 연체율 등 건전성 지표는 오히려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만기연장, 원리금상환 유예 등 중소기업·소상공인에 대한 금융지원도 지표-건전성간 갭을 확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은행 대출의 주요 형태를 감안할 때 잠재리스크에 유의할 필요성도 대두됐다.
실물경제 회복이 지연될 경우 상반기중 급증한 기업대출을 중심으로 부실 가능성이 커질 수 있으며, 내년 3월까지 연장된 금융지원 조치가 추후 종료될 경우 건전성 지표가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
하반기에도 신용대출 증가세 등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어 은행의 신용위험 관리 부담이 가중될 우려가 있다.
신용대출의 경우 부실 가능성이 담보대출에 비해 높은 점 등을 고려할 때, 대출 건전성 저하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한은은 "상반기중 은행의 대출 행태 변화는 코로나19 상황의 영향을 크게 받았으나, 최근 급변하는 금융환경 하에서 은행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기회로도 활용할 필요가 있다"면서도 "향후 코로나19의 향방을 예단할 수 없는 만큼 잠재리스크 대응에도 유의할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은은 "정부의 암묵적 지원 기대 등을 바탕으로 한 차주의 모럴헤저드 억제 및 적극적인 금융중개기능과 건전성 관리 간 균형을 이룰 수 있는 방안을 모색이 필요하며 기업·가계의 부실가능성을 수시로 점검하고 부실대출 조기 선별을 위한 신용평가 역량 확충 노력도 지속되야 한다"고 밝혔다.
이지훈 기자 jihunlee@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