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총은 “코로나19로 인해 순수 부담자인 기업과 가계의 부담능력이 한계상황에 처한 점에서 거듭 ‘동결’을 호소했음에도 수혜자와 공급자의 입장만을 토대로 과도한 보험료율 인상이 이루어져 유감”이라고 밝혔다.
직장인들은 월평균 약 3400원을 더 부담해야 하고, 자영업자 및 지역가입자들도 월평균 2700원 이상을 더 내야 한다.
경총은 “정부는 팬데믹 상황이 장기화·수시화될 수 있다는 인식 아래 보험료율의 기계적 인상보다는 보장성 확대계획의 전면적 조정이 필요하다”며, “기업과 가계가 감당할 수 있는 보험료율에 기초하여 지출을 합리적으로 관리해 나갈 수 있도록 조속한 정책 전환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가입자대표가 소수에 지나지 않아 보험료율 심의과정에서 가입자의 입장이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라며, “현행 보험료율 결정구조를 전면 재검토해 재정기여도에 따라 국민의 뜻이 균형되게 반영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은경 기자 ek7869@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