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ce 1992

대한민국 최고 금융경제지

닫기
한국금융신문 facebook 한국금융신문 naverblog

2024.03.28(목)

[기자수첩] 업계 우선해야 할 핀테크산업협회장

기사입력 : 2020-02-24 07:50

  • kakao share
  • facebook share
  • telegram share
  • twitter share
  • clipboard copy
ad

전체 회원사 대변
정치적 이용 말아야

▲사진: 전하경 기자
▲사진: 전하경 기자
[한국금융신문 전하경 기자] "본인이 운영하는 기업 이익을 위한 마음도 분명히 있을 겁니다. 사익보다 얼마나 산업 전체를 위할 수 있는 사람이 회장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 합니다."

협회장의 자격을 묻자 한 핀테크 업체 관계자가 한 말이다. 핀테크산업협회장이라는 자리가 개인의 이익을 대변하는 '정치적인 자리'가 되서는 안된다는 취지에서 나온 말이다.

이번 핀테크산업협회장은 회원사들의 선택을 받는 첫 회장이다. 설립 당시에는 협회 설립 주최인 이승건닫기이승건기사 모아보기 비바리퍼블리카(토스) 대표가 회장으로, 2대 회장인 김대윤 피플펀드 대표는 출마 당시 단독 후보였다. 지난 선거와는 달리 특히 이번에는 카카오페이, 데일리금융그룹이라는 두 빅테크 기업 수장이 출마했다. 류영준닫기류영준기사 모아보기 카카오페이 대표, 신승현닫기신승현기사 모아보기 데일리금융그룹 대표 외에도 자타 다양한 후보들이 회장 출마 의사를 보였다고 한다. 회장 후보로 확정된 두 CEO 모두 회원사 선택을 받기 위해 사활을 걸고 선거 운동을 하고 있다는 전언이다. 회장 뿐 아니라 부회장사에 지원하는 핀테크 기업도 이전보다 많아졌다. 협회 회원수도 이미 300개가 넘은 상태다. 이중에서는 네이버파이낸셜, 쿠팡 등 대형 기업까지 가입해있는 상황이다. 불과 2년 만에 협회장 회비가 부담돼 회장 선거에 나서는 사람이 없었던 때와는 확연히 달라졌다.

핀테크산업협회장 자리가 선망의 대상이 된 건 금융당국 '혁신 금융 정책'과 무관하지 않다. 이승건 초대 회장 뒤를 이을 2대 핀테크산업협회장 선발 당시만 해도 핀테크 업계를 둘러싼 환경은 녹록지 않았다. 핀테크 회사들은 여느 누구 할 것 없이 규제로 성장이 막혀 있었다. 이승건 초대 회장 당시에는 협회 출범 초반에 기반을 마련하는 시기여서 어수선했고 2대 회장 초반까지 어수선함은 이어졌다. 당시 협회 출범을 초기부터 본 핀테크 업계 관계자는 "일반 회원사 회비도 내지 못하고 어려움을 겪는 핀테크 기업들이 굉장히 많았다"라며 "우선 협회를 갖추기 위한 회원 확보가 중요해 회비를 받지 않는 경우도 많았다"라고 밝혔다.

분위기가 완전히 뒤바뀐건 불과 1년 전이다. 최종구닫기최종구기사 모아보기 전 금융위원장이 '혁신 금융'을 내세우며 규제를 풀어줬다. '규제 샌드박스' 시행으로 그동안 규제에 가려 서비스를 내지 못했던 핀테크 기업들이 색다른 금융 서비스를 선보이기 시작했다. 여기에 은행 펌뱅킹 연결에 어려움을 겪었던 핀테크 업체들이 오픈뱅킹으로 다시 한 번 날개를 피게 됐다. 은성수닫기은성수기사 모아보기 금융위원장도 '혁신 금융'을 적극 내세우며 핀테크 업계 목소리에도 귀를 기울이고 있다.

금융당국 기조 변화로 핀테크산업협회 위상도 커지게 됐다. 금융당국이 주최하는 각종 핀테크 행사에 초대됐고 금융위원회 수장인 금융위원장과도 자주 만날 수 있는 계기가 됐다.

핀테크 업계 관계자는 "업체들이 제도 개선을 건의할 때 금융위원회에 가면 사무관도 겨우 만난다"라며 "핀테크산업협회장은 반면 금융위원장을 바로 만날 수 있어 의견을 피력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각종 행사에도 초대되고 언론 노출도 많아져 기업 홍보에도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이승건 토스 대표도 작년 한 행사에서 금융위원장에 증권사 설립에서 어려움을 직접 전달하기도 했다. 이 일로 한동안 다양한 이야기가 오갔지만 토스는 인터넷전문은행 예비 인가 재도전에 성공했고 '토스 증권' 설립도 순항하고 있다.

커지는 위상에 따른 부작용도 존재한다. 회장 직위를 이용해 사익을 채우는 '정치적인 자리'가 된다는 점이다. 마음만 먹으면 협회 회장이라는 명분 하에 자신이 이끄는 기업 목소리를 내는 창구로만 이용할 수 있다는 뜻이다.

핀테크산업협회는 보험협회, 은행연합회 등과는 달리 다양한 산업군이 회원사로 존재한다. 해외송금, 블록체인, P2P, 전자금융, 간편결제, 로보어드바이저, 크라우드펀딩 등 구분을 짓기가 어려운 정도다. 게다가 '빅블러(Big Blur)' 시대가 도래하면서 산업 구분도 쉽지 않다. 규제 샌드박스, 오픈뱅킹, 데이터3법 통과로 업계 분위기가 좋아졌지만 규제 샌드박스 제도가 무기한으로 시행되는 것은 아니다. 여전히 업계에서는 풀어야 할 과제도 많다.

핀테크 취지는 금융권의 메기다. 기존 기득권인 금융권이 수용하지 않은 또는 외면한 부분에서 혁신적인 서비스를 일으켜 변화시키는 역할, 혁신적인 서비스를 선보여 산업 발전의 계기가 되는 것이다.

혁신성을 가진 핀테크업체가 모인 핀테크산업협회는 혁신 기조가 이어질 수 있는 교두보가 되어야 한다. 이를 중재하는 회장의 자리는 그만큼 막중하다. 다양한 회원사 목소리에 귀를 기울일 수 있는지, 개인의 이익이 아닌 모두를 위한 이익을 대변할 수 있는지가 분기점이 될 것이다.

전하경 기자 ceciplus7@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issue

전하경 기자기사 더보기

오피니언 BEST CLI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