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말 한국 손해보험협회 주도로 구성된 ‘IFRS17 글로벌 협의체’가 제도 도입을 1년 더 늦춰야 한다는 데에 의견을 모은 것에 이어, 19일 생명보험협회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신용길닫기

이어 그는 “당국은 업계가 감내할 수 있을 정도로 제도를 운영하겠다고 밝혔지만, 유럽 정도는 아니더라도 우리나라도 제도 도입에 있어 충분한 준비기간이 필요하다”며, “이 부분에 대해 당국에 적극적인 건의를 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지난해 당초 보험사들은 2021년으로 예정됐던 IFRS17 시행을 2023년으로 연기하자는 의견을 개진했으나, 제도 도입을 주관하는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는 정례회의를 통해 1년만 연기된 2022년으로 IFRS17 시행 시기를 늦췄다. 이에 금융당국은 역시 2021년 도입되기로 예정됐던 K-ICS 시행을 IFRS17에 맞춰 2022년으로 늦췄다.
IFRS17는 보험 부채를 원가에서 시가로 평가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이 경우 보험사들은 요구자본이 증가해 자본 확충 압박이 커진다. 지금은 부채로 잡히지 않는 부분까지 부채가 되면서 지급여력비율(RBC) 하락이 불가피해진다. 지급여력비율은 보험사의 재무건전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국내 보험업법은 보험사가 지급여력 비율을 100% 이상 유지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통상 지급여력 비율이 150% 밑으로 떨어지면 위험 수준으로 파악해 자본 확충을 유도한다.
지난해 7월 금융당국은 K-ICS 초안(1.0)에 대한 QIS를 실시했다. 그 결과 대부분의 국내 보험사가 지급여력비율이 급락했으며, 국내 1위 보험사인 삼성생명마저도 이 비율이 100%를 넘지 못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돼 보험업계에 충격을 안긴 바 있다.
금융당국은 상반기 중 K-ICS 중안(2.0)에 대한 QIS를 진행한 뒤 이 결과를 바탕으로 2022년 적용될 K-ICS 최종안을 올해 연말에 확정 짓겠다는 구상을 밝힌 상태다. 금감원은 이를 위해 가까운 시일 내 K-ICS 도입준비위원회에 K-ICS 2.0을 상정하기로 했다. K-ICS 2.0은 지난해 초 발표된 K-ICS 1.0과 비교했을 때 전체적인 틀은 유사하지만, 국내 보험시장 요건을 고려해 기준이 다소 완화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장호성 기자 hs6776@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