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DN(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은 네트워크 관리자가 더 효율적으로 네트워크를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를 기반으로 개발된 5G SDN 스위치는 하나의 컨트롤러에서 여러 대 장비의 네트워크 구성을 한꺼번에 설정하고 변경하는 등 통합제어와 체계적인 운영과 관리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LG유플러스는 지난 7월 시스코와 함께 장비 개발을 완료하고, 5G 패킷 교환기 등 가상화된 5G 코어 장비와의 연동 테스트를 진행해 왔다.
5G SDN 스위치는 또한 기존 가상 사설망 기능(VPN)을 더욱 확장해 서비스별, 고객군별로 최대 1600만개까지 가상화된 독립 망 제공이 가능하다. LG유플러스에 따르면 서비스의 보안성이 대폭 강화됨은 물론, 가상화된 독립 망을 이용하는 고객들은 전용회선과 같이 마치 별도로 구축된 망을 이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누릴 수 있게 됐다. 최대 몇 주일씩 걸리던 서비스 제공 시간 역시, 최고 몇 시간 내로 단축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이상헌 LG유플러스 NW개발담당은 “이번 5G SDN 스위치 적용으로 5G 서비스를 보안을 강화하여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됐다”며 “향후 코어와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연동해 보다 다양한 5G 서비스 제공을 지원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희연 기자 hyk8@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