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차그룹은 지난 9월 현대·기아차 북미 공장에 의자형착용로봇(H-CEX)’을 시범 적용한 데 이어, 올 연말에는 ‘윗보기 작업용 착용로봇(H-VEX)’까지 시범 적용할 계획이라고 22일 밝혔다.
실제로 ‘의자형 착용로봇(H-CEX)’과 ‘윗보기 작업용 착용로봇(H-VEX)’도 로보틱스팀(전략기술본부)과 생기개발센터(생기개발본부)의 협업을 통해 탄생했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9월 현대·기아차 북미 공장에 ‘의자형 착용로봇(H-CEX)’을 시범 적용했다.
산업 현장 적용을 목적으로 개발된 첫 번째 웨어러블 로봇인 ‘의자형 착용로봇(H-CEX)’은 작업자의 앉은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무릎관절 보조 시스템이다. 1.6kg의 경량형 모델임에도 150kg의 체중까지 지탱해 작업자의 작업 효율성이 대폭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현대차그룹은 현재 개발 중인 ‘윗보기 작업용 착용로봇(H-VEX)’도 올 연말 현대·기아차 북미 공장에 시범 적용해 기술 검증을 이어갈 계획이다.
‘윗보기 작업용 착용로봇(H-VEX)’은 몸을 뒤로 젖힌 채 팔을 들고 일해야 하는 작업자의 힘을 보조해주는 시스템이다. 특히 목과 어깨 등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돕는 모델이다.
현대차그룹은 보행이 불편한 고령자는 물론 하반신 마비 환자까지도 걷거나 계단을 오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의료용착용로봇(H-MEX)’을 개발해 지난해 세계 가전제품 박람회(CES)에서 선보인 바 있다.
현재는 의료기기로 상용화하기 위해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와 미국 식품의약국(FDA) 인증을 준비 중이다.
허리와 다리에 착용해 사용하는 ‘휴마(HUMA)’는 보행 중 근력을 증강시켜주는 로봇이다. 달리기 속도가 시속 12Km에 달해 세계에서 가장 빠른 웨어러블 로봇 중 하나로 평가 받고 있다.
직접 착용해서 사용하는 웨어러블 로봇 이외에도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켜 주는 다양한 로봇들도 조만간 선 뵐 예정이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로보틱스 분야는 미래 모빌리티 솔루션 뿐만 아니라, 인구 감소와 노령화에 따른 생산성 하락에 대한 장기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며 “자율주행차 개발을 통해 쌓은 방대한 양의 기술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로보틱스 분야에서도 혁혁한 성과를 이뤄낼 것”이라고 말했다.
유명환 기자 ymh7536@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