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 신협연구소가 개최한 ‘2024년 신협발전세미나’에서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2024.06.27.)/사진 제공 = 신협연구소 [한국금융신문 김다민 기자]
신협연구소는 지난 27 일 대전 신협중앙회관 2 층 대강당에서 신협 임직원 400 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 재무적 회복을 넘어선 신뢰 재구축 (Rebuilding Trust Beyond Financial Resilience)’ 을 주제로 ‘2024 년 신협 발전세미나 ’ 를 개최했다고 28일 밝혔다 .
이번 세미나는 고금리와 불확실성이 지속하는 금융 환경 속에서 신협의 현재 재무 상태를 점검하고 대응력을 확보하며 , 경제 석학들의 강의를 통해 신협의 미래 경영과 발전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
세미나의 첫 순서로 조용록 신협중앙회 금융지원본부장이 ‘ 신협 경영과 현안사항 ’ 을 발표하며 재무적 회복 탄력성을 갖추기 위한 하반기 조합 지도 및 지원 방향에 대해 설명했다 .
이어서 현정환 동국대학교 교수가 1980 년대 미국신협의 위기 경영 사례를 토대로 한국신협의 지속 가능한 발전 방안을 소개했다 . 김성태 닫기 김성태 기사 모아보기 경성대학교 교수는 실증적 분석을 통해 신협의 핵심예금이 양 (+) 의 재무적 성과가 있다는 결과를 도출했다며 , 핵심예금 확보의 중요성을 되새기면서 예금 유치 방안을 제시했다 .
김용기 세종사이버대학교 교수는 일반 기업과 달리 신협의 명칭 변경이 재무적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을 제언하며 , 신협의 대외 신인도 제고를 위해 중앙회의 역할과 개별 신협 간 협동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마지막 순서로 부기철 조선대학교 교수가 ‘ 디지털 금융 이용이 신협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을 주제로 온 (ON) 뱅크 실적이 신협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에 대해 강의했다 .
윤성근 신협중앙회 기획이사는 “ 이번 세미나는 신협의 재무 상태를 점검하고 현 상황에 대응하기 위한 경영 전략을 수립해 조합원과의 신뢰를 구축할 방안을 진지하게 고민해볼 수 있는 자리였다 ” 며 “ 최근 고금리 기조와 불안정한 금융환경이 지속되고 있지만 , 중앙회와 조합이 함께 지혜를 모아 극복해 나가겠다 ” 고 말했다 . 김다민 한국금융신문 기자 dmkim@fntimes.com
뉴스레터 구독을 위한 이메일 수집 및 수신에 동의하시겠습니까?
뉴스레터 수신 동의
(주)한국금융신문은 뉴스레터 구독(이메일 전송) 서비스와 당사 주관 또는 제휴·후원 행사 및 교육에 대한 안내를 위해 이메일주소를 수집합니다.
구독 서비스 신청자는 개인정보 수집·이용에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단, 거부 시 뉴스레터를 이메일로 수신할 수 없습니다.
뉴스레터 수신동의 해제는 뉴스레터 하단의 ‘수신거부’를 통해 해제할 수 있습니다.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