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결제원 관계자는 “최근 금융권의 화두는 AI 활용 활성화와 신뢰성의 확보이다”라며 “금융당국에서 추진 중인 AI 정책과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지원하겠으며, 고객을 위한 신규 사업발굴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대표 데이터 서비스 중 하나는 '개인 대안 신용정보 제공 서비스'다. 금융결제원이 처리하고 있는 자동이체 납부 정보(연간 17억여건)를 기반으로 코리아크레딧뷰로(KCB)와 협업해 출시하였다.
금융 소비자가 자동이체 정보 제공에 동의하면, 금융회사는 성실 요금 납부이력을 기반으로 대출을 실행할 수 있어, 금융시장에서 소외되는 신파일러 및 중신용자 그룹에 대한 중금리 대출 확대에 기여했다.
“기업 활동성 Insight 데이터 서비스”는 전자채권, 트러스빌 등 금융결제원이 보유한 기업금융 정보를 가공하여 기업의 거래 관계 및 영업 활동성을 다차원적으로 분석·파악할 수 있는 데이터를 은행에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기업의 미래 성장 가능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 은행의 중소기업 관련 대출 및 마케팅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2024년에는 개인의 금융 활동성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준비 중에 있다. 고금리 시대 금융회사 상생금융 관련 신상품 개발 및 고객 관리에 유용한 정보 발굴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 외연 확장을 도모한다는 취지이다.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