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 남동부에 위치한 이천은 크록스 매장과 온라인 구매 수요가 밀집한 서울과 가까운 데다 교통 편의성 덕에 ‘물류 허브’로 꼽힌다. 패션물류단지가 있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번에 문을 연 물류센터는 전국 90여 개 오프라인 매장과 온라인 쇼핑을 아우르는 ‘통합물류센터’로 기능한다. 오프라인 매장 물류(B2B)는 기존의 온라인몰 물류(B2C)와는 확연히 다르다. 매장 배송 상품은 매장이 영업을 하지 않는 새벽 시간에 한 번에 대량으로 출고한다. 크록스는 단독 매장은 물론 백화점, 대형마트 등에도 입점해 있다. 반면 온라인 판매 상품은 소량의 여러 주문을 한꺼번에 처리한다. 하나의 물류센터에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운영하는 ‘통합 물류’의 복잡성에도 불구하고, CJ대한통운은 설계 단계부터 동선을 최적화해 효율을 높였다.
배송 품질에 대한 크록스의 높은 만족도도 주효했다. 프로모션과 시즈널리티(계절성)에 따른 물량 변동이 큰 상품 특성상 빠른 배송과 효율적인 재고 관리가 중요하다. 다른 브랜드나 연예인과 협업하는 마케팅에 적극적인 크록스는 한정판 제품을 자주 내놓는 데다 여름이 다가올수록 수요가 늘어나는 경향이 있다. 주요 고객이 10~30대 젊은 층이라 SNS를 통해 반응을 즉각적으로 확인하기도 쉽다. 이 같은 니즈를 현실화하기 위한 최적의 파트너는 CJ대한통운이라는 판단이다.
핵심 기술은 분류의 자동화다. 신발은 일반 의류에 비해 색상과 사이즈가 다양해 분류와 재고 관리 부담이 크다. 현재 판매 중인 크록스 상품만 신발부터 액세서리 ‘지비츠™ 참(Jibbitz™ Charms)’ 등 8천여 가지가 넘는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J대한통운은 자체 개발한 자동 분류 시스템인 ‘MAAS(Mini AGV Assorting System)’를 도입했다. 상품을 배송지별로 분류해 그에 맞는 배송 박스로 옮기는 작업은 모두 로봇청소기처럼 생긴 50여 대의 미니 AGV(Automatic Guided Vehicle)가 담당한다. 기존에 사람이 하던 일을 MAAS가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대체하면서 생산성이 2배 이상 높아졌다.
국내 최대 규모의 물류 인프라가 주는 신뢰성과 이에 따른 시장 지배력도 강점이다. 짧은 시간에 급증한 주문량을 처리할 수 있는 것도 이 덕분이다. 국내에선 CJ대한통운이 유일하게 상품 보관부터 포장 및 배송까지 ‘원스톱 물류’가 가능한 자체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물류 업체 대부분이 상품을 보관하기만 하고 배송은 택배사에 위탁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크록스는 온라인 역량을 강화하고 아시아 매출 비중을 늘려나갈 계획인 만큼 향후 CJ대한통운의 역할과 중요성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월드 풋웨어(World Footwear) 연감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아시아가 전 세계 신발 소비량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53%에 이른다.
손원태 한국금융신문 기자 tellme@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