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일 오후 서울 명동역 부근 ‘라이프워크 도깨비마트’를 찾았다. 이곳은 의류점과 카페, 식료품점으로 구성된 복합 매장이다. 방문자의 70% 이상이 외국인 관광객이라고 한다. 명동은 코로나 팬데믹 당시 관광업이 직격탄을 맞으면서 거리 일대가 초토화됐다. 한때 공실률이 가장 높았던 곳이었지만, 엔데믹 이후 관광업이 재개되면서 옛 명성을 되찾았다. 특히 지난해 4분기 기준 명동의 공실률은 9.4%를 기록했다. 이는 서울 6대 상권(명동·강남·홍대·가로수길·이태원·청담) 중 가장 낮다.

우선 매장 입구부터 초대형 신라면 조형물들이 천장에 매달려 시선을 모았다. 또한, 박물관이나 도서관에 온 것처럼 각종 라면들이 진열장을 빼곡하게 가득 찼다. 이 매장은 지하 1층에 있는데, 지상 1층과 연결된 계단에도 천장 높이까지 진열장이 있어 마치 스타필드 별마당 도서관을 방불케 했다. 지하 1층 매장에는 농심의 브랜드존이 약 20㎡ 규모로 조성됐다. 한강에서 라면을 즉시 끓여 먹을 수 있는 것처럼 조리기도 놓여 있었다. 여기에 전자레인지도 설치돼 만두나 치킨과 같은 냉동식품도 바로 먹을 수 있었다. 농심은 또 각종 컵라면 조형물도 설치해 포토존을 꾸몄다. 외에도 이 매장에는 국내 식품기업들의 주력 브랜드도 한눈에 담아볼 수 있다. CJ제일제당 비비고, 오뚜기 3분 카레·라면, 삼양식품 불닭볶음면, 오리온 초코파이, 대상 청정원, 동서식품 카누, 롯데웰푸드 자일리톨 등 각 사 브랜드의 대표 제품들이 한 매대에 통째로 꾸려져 있었다.

이처럼 농심의 호실적 배경에는 단연 신라면에 있다. 농심은 지난해 신라면으로만 1조2100억원을 거두었다. 농심은 2년 연속 신라면으로만 매출 1조를 달성하는 등 진기록을 세웠다. 농심 전체 매출에서 신라면이 차지하는 비중도 3분의 1 이상이다. 그러나 세계 라면 시장은 500억 달러(약 66조원) 규모다. 2022년 기준 농심의 해외 매출은 1조6000억원으로, 농심의 성장 가능성은 무궁무진하다.
농심은 2030년 미국에서만 연매출 15억 달러를 목표로 한다. 농심은 1971년 미국에 첫 수출을 했고, 1984년 샌프란시스코에 사무소를 개설했다. 2005년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 생산공장을 준공했다. 2022년 4월에는 미국 캘리포니아 주에 제2공장을 증설했다. 이에 미국에서 농심의 라면 생산량은 연간 8억5000만개로 늘어났다. 농심은 미국 내 라면 점유율 1위를 목표로 해 2025년 미국 내 제3공장을 추진한다. 농심은 미국 말고도 해외에서 4개의 법인, 5개의 생산공장을 갖췄다. 이를 토대로 100여 개 국가에 라면을 수출하고 있다. 명동은 이러한 농심의 해외 전략을 국내에서도 보여줄 수 있는 적합한 장소이기도 하다. 농심이 이 매장에서 브랜드존을 팝업이 아닌, 상시로 운영하는 이유다.
농심은 “이번 브랜드존은 쇼핑, 휴식공간과 결합해 명동 관광객들에게 특별한 명소가 될 것”이라며 “K라면 본고장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들이 추억을 간직하도록 하겠다”라고 했다.

손원태 한국금융신문 기자 tellme@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