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창권 KB국민카드 사장은 지난 12일 ‘2024년 상반기 경영전략회의’에서 박상영 펜싱 선수를 언급하며 위와 같이 말했다.
KB국민카드는 개인 및 법인 신용카드 일시불·할부 이용 전체 신용판매(구매전용 제외) 실적을 기준으로 2018년 현대카드를 제치고 업계 3위에 올랐다. 2020년 1분기에는 삼성카드를 제치고 시장점유율 순위 2위까지 올랐다.
그러나 2021년 다시 현대카드에 밀려 4위로 하락한 이후로는 점유율이 점차 축소되고 있다.
KB국민카드의 시장점유율은 2018년 15.8%에서 2019년 16.5%로 높아진 뒤 16%대를 유지했으나 2023년 3분기에 15%대로 다시 떨어졌다. 현대카드와의 점유율 차이도 2021년 0.1%에서 2022년 0.4%p, 2023년 3분기 2.3%p 점차 확대됐다.
이 사장은 취임 첫 해인 2022년 KB손해보험에 KB금융 비은행 계열사 순이익 기여도 1위 자리를 내어줬다. 여기에 더해 지난해 3분기에는 KB금융그룹 비은행 계열사 2위자리까지 KB라이프생명에 뺏겼다.
이 사장은 역전승을 위한 방법으로 본업 성장과 미래 성장동력 발굴을 강조하고 있다. 그는 ‘KB국민카드 S.P.U.R.T 2024’ 라는 주제로 열린 경영전략회의에서 ‘본업 성장을 기반으로 미래 사업을 본격 확대하는 선순환 성장구조 구축’을 말했다. 이는 올해 초 신년사에서도 주요 추진 방안으로 밝힌 내용이다.
이창권 사장은 신상품 출시로 본업 경쟁력 강화를, KB페이로 미래 성장동력을 확대하고 있다. 신상품 라인업 KB 위시카드 시리즈는 발급 카드 수 56만좌를 기록했으며 KB페이는 가입고객 1100만명, 월 이용금액 1조원 돌파라는 성과를 거뒀다.
이에 각종 지표가 악화되는 상황에서도 지난해 3분기 KB국민카드의 총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2.5% 증가한 1조 3894억원을 기록했다. 시장이 안정화되면 이익으로 돌아올 수 있는 부문으로 향후 실적 개선이 기대되는 상황이다.
홍지인 한국금융신문 기자 helena@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