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대표는 1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참석해 애플페이 수수료가 다른 국가에 비해 높지 않냐는 양정숙 의원의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김 대표는 “저희가 도입을 검토했었을 때 여러 나라의 케이스를 봤었다”며 “지금 지적하신 여러 나라 중에서 저희 스스로는 (한국의 수수료가) 특별히 높지 않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양정숙 의원은 현대카드와 애플페이의 높은 수수료율로 후발 주자들이 계약을 할 때도 동일하게 높은 수수료를 줄 수밖에 없다며 지적했다. 이어 결국 높은 수수료가 소비자와 영세 상인한테 전가될 수가 있다며 비판했다.
이에 대해 김 대표는 “현대카드는 독점적 지위를 갖고 있지 않다”며 “계속 현대카드가 타사보다 (수수료율이) 높다고 말씀하시는데 저희도 최선의 협상을 다했다”고 말했다.
이어 “각 나라와 각 회사의 수수료 정책은 각자가 갖고 있는 숫자이기 때문에 제가 뭐라고 말씀드리기는 어렵다”고 답했다.
이 때문에 당시 카드업계에서는 현대카드에서 무리하게 애플페이를 끌어들이면서 삼성페이도 수수료를 받을 명분이 생겼다는 불만이 나왔었고 실제로 삼성전자에서도 삼성페이 수수료 유료화를 검토했다.
삼성페이가 애플페이와 비슷한 수준의 수수료를 책정하는 경우 카드업계 전체적으로 연간 약 1000억원 상당의 추가 지출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삼성전자는 국내 페이 생태계 발전을 위해 국내 카드사들과 지속 상생하기로 했다며 계획을 철회한 바 있다.
또한 높은 수수료 비용으로 카드사가 부담을 줄이기 위해 무이자 할부 기간 등 혜택을 축소하거나, 대출 취급을 줄이는 등 다른 형태로 소비자에게 부담이 전가할 수 있다는 비판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홍지인 기자 helena@fntimes.com
[관련기사]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