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현닫기

이번 인선으로 윤석열 대통령은 그 동안 강조했던 경제부총리(經濟副總理), 금융위원장, 대통령실 경제수석(經濟首席)까지 ‘경제(經濟) 원팀’ 전략을 공고히 할 수 있게 됐다는 평가다. 무엇보다 새 정부가 경제 관료 출신을 전면에 배치한 것은 고금리(高金利)·고물가(高物價), 가계부채(家計負債) 부실 우려 등 산적한 경제 과제를 조속히 해결하기 위해서다. 전문성(專門性)과 함께 과거 손발을 맞춰본 행정(行政) 경험을 기반으로 한 조직력(組織力) 발휘(發揮)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과거 공직 선후배들 사이에서 장관(長官) 감으로 평가받았음에도 박근혜 전 대통령 동생인 박지만 EG회장과 고교(중앙고) 동기동창(同期同窓)이란 이유로 오히려 역차별(逆差別)을 받았다는 이야기가 공공연하게 전해져왔다. 박지만 회장과는 고교시절 막역한 사이로 박 전 대통령과도 어릴 때부터 친분이 깊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가 2019년 예금보험공사(預金保險公社) 사장(社長) 자리에 올랐을 때도 사실상 좀 더 큰물에 있어야 할 사람이란 얘기가 돌았다고 한다.
이런 평가에도 김 후보자 앞에 켜켜이 쌓인 금융 관련 각종 현안(懸案)은 결코 만만치가 않다. 포스트 코로나19 국면에서 물가상승(物價上昇)과 기준금리(基準金利) 인상, 가계부채 대응, 루나 테라 사태 등 가상화폐 시장 문제, 부동산(不動産) 대책 마련 등 금융정책(金融政策) 관련 현안이 산적(山積)하다.
특히 코로나 19 대응 과정에서 시중(市中)에 돈이 너무 많이 풀렸다는 점이 가장 큰 원인(原因)으로 지적된다. 이 때문에 물가가 최근 보기 드문 속도로 상승하고 있고, 가계부채도 지난해 기준으로 1862조1000억원에 달한다. 한국은행(韓國銀行)이 금리 인상 기조를 명확히 한 만큼 금융 정상화의 충격파(衝擊波)가 취약계층(脆弱階層)에 쏠리지 않도록 금융당국이 정책을 미세조정(微細調整) 해야 한다는 얘기다.
사실 금융권의 요구(要求)는 간단하다. 윤석열 정부의 금융정책 초대 수장으로 기용(起用)된 그가 금융규제 혁파(革罷)에 선봉(先鋒)이 되어주길 희망하고 있다. 비대면(非對面) 채널 거래가 확산되고 금융소비자(金融消費者)들의 트렌드도 급변하는 상황에서 더 이상 낡고 오래된 금융시스템에 안주해서는 세계 금융시장에서 생존하기 힘들다는 것. 금융업체나 학계 전문가들은 디지털 금융 플랫폼(platform) 시대, 이제 금융당국도 과감히 변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새롭고 창의적(創意的) 발상이어야 난국을 헤쳐갈 수 있다는 것. 김주현 금융위원장 후보자가 앞에 놓인 산적한 현안을 잘 풀어 우리나라가 ‘디지털 금융(Digital Finance) 강국’으로 우뚝 서길 기대해 본다.
김의석 기자 eskim@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