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지난 10월 말 기준 5G 전체 가입자 수는 1938만 970명이다. 전체 이동통신가입자(7215만 3000명)의 약 27%가 5G 가입자다. 매달 5G 가입자가 60만 명 이상씩 순증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연내 2000만명 돌파는 무난할 것으로 보인다.
2019년 세계 최초 5G 상용화를 외치던 이통 3사는 ‘20배 빠른 LTE’라는 마케팅으로 LTE(4G)보다 지나치게 높은 가격대 요금제를 신설하며 5G 가입자 유치에 나섰다. 당연히 5G를 경험해본 적 없는 이들은 이통사 마케팅인 ‘20배 빠른 LTE’를 기대했을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 가입자들은 속도 차이를 못 느끼겠다는 반응이다. 영국 시장조사기관 오픈시그널이 발표한 12월 ‘한국 5G 품질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5G 다운로드 속도는 ▲SK텔레콤 467.4Mbps ▲LG유플러스 414Mbps ▲KT 367.6 Mbps 등으로 나타났다. 과거 4G(LTE)의 평균 다운로드 평균 속도인 158.53Mbps와 비교하면 3~4배 높은 수준이지만, 그들이 광고했던 ‘20배’에는 한참 못 미치는 속도다.
이통 3사가 강조한 20배 빠른 LTE를 구현하려면, 이론적으론 28GHz 대역의 5G 기지국을 구축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설치된 5G 기지국 중 대다수가 3.5GHz 대역이다. 3.5GHz는 LTE보다 약 4배가량 빠르다.
5G 품질 논란이 지속되자 20배 빠른 LTE를 광고했던 이통사들은 28GHz는 B2C보다 B2B(기업고객)에 더 적합하다는 입장이다. 그래서인지 28GHz보다는 3.5GHz 대역 기지국을 설치하는데 신경쓰고 있다.
올해 3분기까지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누적 설비투자비는 4조 827억 원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7668억 원 줄었다. 전년도(8조 3000억 원)와 비슷한 규모를 이어가려면 이통사별로 약 1조 원 가량 투자해야 한다. 이통 3사 모두 전년과 유사한 수준의 설비투자를 집행할 것이라고 밝혔지만, 한 분기에 1조 원 이상 투자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워 보인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지난 10월 말 기준 이통 3사가 전국에 구축한 5G 28GHz 기지국 수는 204개다. 올해 초 약속했던 4만 5000대에는 턱없이 부족한 숫자다.
전파법상 의무 구축 수량 대비 실제 구축 수량이 10% 미만이거나, 평가 결과 점수가 30점 미만이면 주파수 할당 취소 처분이 내려진다. 이에 이통 3사는 과기정통부에 지하철에 공동 구축하는 28GHz 5G 기지국 1500개를 의무구축 수량으로 인정해달라며 건의한 상태다. 사실상 꼼수다. 해당 건의가 받아들여지면, 당장 이통 3사 주파수 할당 취소 처분은 피할 수 있게 된다.
5G 뿐만 아니라 유무선 인터넷 품질 관련 논란도 올해만 KT에서 2건이나 발생했다. 지난 4월 유명 IT 유튜버에 의해 10기가 인터넷 속도가 사실은 100MB의 속도로 서비스 되고 있어 논란이 됐다. 또 지난 10월에는 유·무선 통신 장애 현상이 89분간 전국 단위로 발생하면서 결제서비스와 주식거래, 회사 업무 등 피해가 속출했다.
이처럼 통신 품질과 관련된 논란이 지속되고 있지만, 통신사들은 본업인 통신 보다는 인공지능(AI)·구독 서비스·메타버스 등 신사업 챙기며 ‘탈통신’을 외친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이 사업들은 모두 통신과 연관이 돼있다. 즉, 통신 품질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어떠한 서비스도 제대로 구축할 수 없다는 말이다.
이익을 추구하는 기업에게 단 하나의 사업만 하라는 것은 아니다. 다만, 통신을 기반으로 한 신사업을 이어가고 있는 이통사들이 본질인 통신에서 품질을 보장할 수 있어야 그들이 추진하고 있는 각종 탈통신 사업도 제대로 서비스할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정은경 기자 ek7869@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