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닝서프라이즈를 기록했던 지난 1분기(2370억원)와 비교하면 35.6% 줄어든 수치다.
이는 증권가 컨센서스(실적 추정치 평균)를 소폭 밑도는 실적이다. 이날 기준 NH투자증권의 올 2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 컨센서스는 1652억원이었다. 당기순이익은 1244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었다.
컨센서스 하회는 트레이딩 부문 실적이 기대에 미치지 못한 영향이 컸던 것으로 보인다. 레버리지비율을 낮추고 운용자산 총자산순이익률(ROA) 개선 차원에서 저수익자산 조정 등을 거친 결과 운용손익(455억원)이 전분기 대비 62.7% 감소했다.
우리사주조합 기금 마련 및 파생결합증권 평가 방식 변경 등으로 일회성 비용도 70억원 규모로 발생했다.
브로커리지 점유율 상승과 인하우스 상품공급 증가 등으로 위탁매매 및 금융상품 판매수수료는 각각 658억원, 204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각각 3.1%, 3.6% 증가했다.
SNK 기업공개(IPO)와 두산·포스코 관련 분할합병 딜 등을 인식한 결과 인수주선·인수합병(M&A) 자문수수료가 421억원을 기록했다. 인수금융 및 대체투자 신규 딜 확보로 채무보증 관련 수수료는 265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남석 KB증권 연구원은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이 선반영되면서 낮아진 채권금리 하단과 리스크 관리를 위한 자산조정 실시 등의 영향으로 하반기 운용 손익의 개선 폭은 경쟁사 대비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반면 부동산 및 대체투자 사업으로부터 유입되는 수수료와 이자수익이 늘어나면서 실적이 보완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