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6개월 미만의 단기 채권도 점점 회수가 어려워지는 등 연체채권 악성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따라서 카드사들은 연체율을 맞추기 위해 조기에 상각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최근 한나라당도 신용불량자 지원대책을 내놓아 정부 및 정당이 내년 총선을 앞두고 민심을 잡기 위한 선심성 대책을 내놓고 있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신용불량자 구제대책 발표에 카드 연체자들이 채무 상환을 꺼리는 등 모럴해저드가 심각해지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
이 관계자는“작년 상반기까지만 하더라도 연체대금 상환 독촉을 하면 결제대금의 일부라도 지급하면서 연장을 요청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는데 최근엔 돈이 있어도 못 주겠다 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실태를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또 “이젠 연체자들이 연체채권 관리 규정을 잘 알아 독촉전화 가능 시간(오전 8시부터 오후 9시까지)을 조금만 넘어도‘금감원에 신고하겠다’며 되레 으름장을 놓는 상태까지 와 있다”며“카드 연체자들은 정부 등이 발표한 신용불량자 구제대책이‘이자는 물론 원금 탕감’과 같은 획기적인 수준일 것이라고 기대해 채무상환 의지가 약한 것 같다”고 말했다.
정부가 민생 안정을 위해 정책을 수립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막연한 기대감에 본인의 채무 상환을 기피하는 일련의 상황은 카드사의 경영난을 가중시킬 뿐만 아니라 신용불량자를 구제하는 데에도 도움이 안 된다는 점에서 정부의 신중한 정책 수립이 요구되고 있다.
김덕헌 기자 dhkim@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