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 헤리티지’로 새롭게 태어난 옛 제일은행 본점 건물은 1935년 준공돼 1989년 서울시 유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됐다. 한국산 화강석을 사용해 마감한 네오 바로크 양식의 건물로 한국 전쟁 때에도 큰 피해를 입지 않아 준공 당시의 모습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신세계백화점 본점은 ‘더 헤리티지’ 개관에 맞춰 신세계백화점의 역사가 태동한 본관을 ‘더 리저브’로, 2005년 개관한 신관을 ‘디 에스테이트’로 새롭게 명명한다. 앞서 3월에 선보인 ‘디 에스테이트’, 이번에 새롭게 선보인 ‘더 헤리티지’에 이러 ‘더 리저브’도 압도적인 럭셔리 쇼핑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새단장에 나선다. ‘더 리저브’는 올해 하반기 오픈 예정이다.
‘더 헤리티지’에는 신세계의 감각으로 재해석한 럭셔리 콘텐츠로 가득 채웠다. 글로벌 럭셔리 브랜드 입점은 물론 가장 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인 것이라는 철학으로 한국의 전통 문화도 자연스럽게 녹여냈다.
여유로운 공간감이 돋보이는 샤넬의 새로운 부티크는 레디-투-웨어(RTW), 핸드백, 슈즈를 위한 전용 공간은 물론 워치 & 화인 주얼리 전용 살롱도 갖춰 쾌적한 환경에서 쇼핑을 즐길 수 있다. 또 가브리엘 샤넬 여사가 추구했던 예술가 후원의 전통을 이어받아 피터 마리노가 직접 선정한 고전부터 현대까지 아우르는 70여 점 이상의 예술 작품, 오브제 및 가구가 전시돼 있다.
건축학적 보전 가치가 가장 높은 4층에는 대한민국 유통의 발자취를 담은 역사관과 고품격 미술품을 전시하는 갤러리가 마련된다.
갤러리에서는 1930~50년대 서울의 중심지였던 남대문 일대와 신세계의 역사와 헤리티지를 보여줄 수 있는 사진전을 개관전으로 준비했다. 이후에는 설치미술, 미디어 테크놀로지를 결합한 전시까지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소개한다는 계획이다. 갤러리는 4월 중순에 별도로 개관한다.
5층에는 ‘하우스오브신세계 헤리티지’가 들어선다. 새롭게 선보이는 형태의 ‘하우스오브신세계 헤리티지’는 한국의 문화유산을 신세계의 안목으로 풀어낸 공간이다.
한국의 문화와 생활 양식을 담은 전시가 열리거나 장인·작가들과 협업해 다양한 ‘한국의 것’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꾸며진다. 원데이 클래스를 비롯해 전문가들의 강연, 워크샵 등이 주기적으로 열릴 예정이다.
이외에도 신세계 한식연구소에서 한국의 디저트를 연구해 직접 개발한 메뉴를 소개하는 ‘디저트 살롱’과 옥상 정원 등도 조성돼 모두에게 개방된다.
지하 1층에는 한국의 헤티리지를 선물할 수 있는 공예 기프트샵이 마련됐다. 장인·작가들과 협업한 독점 상품과 ‘하우스오브신세계 헤리티지’의 정체성을 담은 선물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다.
프랑스의 럭셔리 크리스털 브랜드 ‘라리끄’와 ‘바카라’, 명품 식기 브랜드 ‘크리스토플’, 10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덴마크의 하이엔드 오디오 전문 브랜드 ‘뱅앤올룹슨’까지 지하 1층에 함께 문을 열어 럭셔리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쾌적한 서비스를 위해 블랙 다이아몬드 등급 이상의 고객이 이용할 수 있는 ‘더 헤리티지 발렛 라운지’를 신설했다. 디 에스테이트에 신설된 ‘퍼스트 프라임 라운지’, 더 리저브에 새단장해 오픈할 ‘트리니티 라운지’ 등과 함께 격조 높은 VIP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문화체육관광부 통계에 따르면 외국인 관광객 입국은 2021년 97만명을 기록한 이후 지난해 1637만명까지 늘어나 팬데믹 이전(2019년·1750만명)과 비슷한 수준으로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점 역시 외국인 구매 객이 전년보다 2022년 241%, 2023년 514%, 2024년 458% 증가하는 등 매년 수 많은 외국인 고객들이 찾는 명소로 자리잡았다.
더 헤리티지는 신세계백화점이 2015년 매입해 10년간 보존과 복원에 공을 들였다. 서울시 국가문화유산 건물이기에 건물의 역사와 헤리티지를 계승하기 위해 최초 원형에 가깝게 복원하고자 진심과 정성을 다했다. 과거 문헌과 사진 자료 등을 최대한 수집해 보존·복원 과정을 허투루 하지 않았다.
실제로 여러 차례 서울시 국가유산위원회 심의는 물론 30여차례 이상의 국가유산위원회위원들의 자문을 통해 하나하나 심혈을 기울였다. 그 결과 1935년 준공 당시와 90% 가량 동일한 수준까지 복원했다.

아울러 1994년 진행된 ‘문화재수리 대수선 공사’에서 변형되었던 엘리베이터 홀과 계단실의 화강석 마감재도 철거 후 준공 당시와 같은 타일 마감형태로 복원했다. 이 과정에서 남아있던 타일의 성분을 분석하고 별도의 형틀을 제작해 타일을 제작하는 등 심혈을 기울였다.
준공 이후에 설치된 요소에는 신세계의 현대적 해석을 가미했다. 대표적으로 남측의 커튼월을 뉴욕의 ‘더 모건 라이브러리’에서 영감을 받아 흰색 철판으로 제작했고, 옥상에 설치되어 있던 태양열 집열판은 해체 후 정원을 조성해 도심속에서 여유를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탈바꿈시켰다. 또 이동 약자의 편리한 이동을 위한 엘리베이터도 신설해 이동 편의를 높이기도 했다.
박주형 신세계백화점 대표는 “신세계의 모든 역량과 진심을 담아 ‘더 헤리티지’를 개관했다”며 “신세계백화점 본점은 역사와 전통이 살아 숨쉬는 공간으로, 관광의 즐거움과 쇼핑의 설렘, 문화의 깊이까지 동시에 경험할 수 있는 서울의 대표적인 랜드마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슬기 한국금융신문 기자 seulgi@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