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사가 독자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결제 서비스를 다른 카드사에 개방해 하나의 앱처럼 이용할 수 있게 한 만큼 간편결제 시장에서 빅테크에 대항할 수 있을 것이라는 핑크빛 전망이 있는 반면, 각 카드사 별로 입장이 불분명해 공동사업이 흐지부지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지난해 11월 말 ‘카드사 간 상호 호환등록을 위한 연동규격 및 표준 API(응용프로그램환경) 개발사업’이 완료됐다. 빅테크로부터 간편결제 시장 내 주도권을 되찾아오자며 뜻을 모아 규격 개발까지 마쳤지만, 오픈페이 도입을 두고는 견해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오픈페이는 카드사마다 다른 규격을 통일해 특정 카드사의 간편결제 앱에서 다른 카드사의 카드로 결제하는 서비스다. 신용·체크·선불카드 등의 정보를 각 사의 앱에 등록하고, 하나의 앱에서 결제내역 조회와 승인취소를 할 수 있게 구현한다는 것이다.
카드업계가 오픈페이 사업을 추진한 데에는 빅테크 기업을 중심으로 간편결제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4년간 간편결제 내 금융회사의 비중을 살펴보면 2016년 57%에서 2020년 30%로 감소했다.
특히 2020년 카카오페이와 네이버파이낸셜 등 전자금융업자의 일평균 간편결제 사용실적은 2052억원으로 전년보다 71.2% 증가했다. 반면 금융사의 일평균 이용실적은 1369억원으로 27.5% 증가하는 데 그쳤다.
하지만 최근 각 카드사마다 결제수단 연동을 둘러싼 이해관계가 대립되면서 올 초 사업을 시작하겠다던 계획이 무산될 위기에 놓였다.
현재 앱 개방에 참여하겠다고 의사를 밝힌 카드사들은 대체로 오픈페이가 간편결제 시장 내 카드사의 입지 확대에 ‘약’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9개의 카드사끼리 뭉치는 만큼 현재 단일 카드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보다 편의성과 범용성 측면에서 더욱 강력한 시너지를 발휘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반면 앱카드 연동이 카드사들에게 결과적으로 ‘독’이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빅테크에 맞서 카드사 앱 서비스를 개방해야 한다는 데 모두 공감하고 있지만, 카드사 간 경쟁으로 기존 고객을 뺏길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특히 회사의 규모나 앱 준비상황, 전략적 목표가 각 사마다 다르기 때문에 섣부르게 시작하기에는 위험 부담이 크다고 바라보고 있다. 또한 단순히 한 카드를 다른 카드사 앱에 탑재하고 결제할 수 있다는 것만으로는 빅테크 서비스를 이기기에 쉽지 않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아직까지 각 카드사 앱마다 가지고 있는 ‘킬러 콘텐츠’가 없다”며 “고객을 끌어들일 만큼의 영향력을 지닌 매력적인 핵심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사실상 현재로선 카드사 앱 간의 차별점이 없어 앱 연동이 된다고 하더라도 빅테크와의 경쟁에서 얼마나 주도권을 가지고 올지 미지수”라고 설명했다.
현재까지 신한·KB국민·롯데·하나·BC·NH농협카드는 오픈페이 참여에 긍정적인 의사를 밝힌 상태며, 삼성·현대카드는 향후 추이를 지켜 보고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한편 앱카드 연동 사업을 담당하는 여신금융협회 모바일협의체에 가입돼 있지 않은 우리카드도 오픈페이 참여 여부를 검토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신혜주 기자 hjs0509@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