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이날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손병두닫기

'저신용자를 대상으로 한 서민금융상품'이라는 당초 도입 목적이 이뤄졌다는 판단이다. '햇살론17'은 지난 9월 출시 이후 지난달 말까지 2938억원, 4만208건이 지원된 것으로 집계됐다. 9월~10월 중 이용자 2만6965건을 분석한 결과 남성 비중이 60.6%로 여성보다 높았고 연령대 중 30~40대 비중이 컸다.
이용자 중 근로소득자는 82%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신용등급이 7~9등급인 저신용자 비중이 68.9%로 새희망홀씨, 햇살론, 바꿔드림론 등 다른 정책 상품과 비교에 비해 높았고, 평균 소득은 3000여만원 수준이었다. 특히 89일 이하의 단기 연체를 경험한 비중은 3.6%로 정책 금융 상품 가운데 가장 높았다.
금융위는 "당초 취지대로 대부업 대출 이용자보다는 우량하지만, 제도권 금융 이용은 어려운 저신용 계층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제도권과 대부업·사금융 경계선상에 있는 고객이 햇살론17의 주 고객층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신용평가 시스템도 고도화한다. 햇살론17 운영 과정에서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체 신용평가시스템(CSS) 및 비금융정보 평가시스템 등을 보다 정교히 구축할 예정이다. 통신정보, 상거래정보 및 AI 기술을 활용한 부동산정보 등도 평가에 활용해 자금이용 기회를 확대 제공하겠다는 복안이다.
햇살론 유스 대상자는 만 34세 이하의 대학생, 미취업청년 또는 사회초년생(중소기업 재직 1년 이하)이면서 연소득이 3500만원 이하인 청년층이다. 대학(원)에 재학 중이거나 취업 준비를 위해 휴학·졸업유예중인 경우에도 이용할 수 있다. 대출 한도는 최대 1200만원, 1년 한도는 600만원이다. 자금용도 증빙이 필요하지 않은 일반생활자금은 1회(6개월) 최대 300만원 한도 내에서 지원한다. 추가 자금이 필요하면 6개월마다 재신청해 최대 4회(2년), 1200만원까지 지원할 수 있다. 금리는 대학생·미취업청년은 4.0%, 사회초년생은 4.5%,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장애인 등 사회적 배려대상 청년층은 3.6%다.
유선희 기자 ysh@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