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ce 1992

대한민국 최고 금융경제지

닫기
한국금융신문 facebook 한국금융신문 naverblog

2024.04.19(금)

맥 못추는 코스닥 활성화 정책

기사입력 : 2018-08-13 00:00

  • kakao share
  • facebook share
  • telegram share
  • twitter share
  • clipboard copy
ad
ad
맥 못추는 코스닥 활성화 정책
[한국금융신문 김수정 기자] 더블유게임즈가 코스피로 자리를 옮긴다. 코스닥 상장 2년여 만이다. 미국 자회사인 디에이트게임즈의 코스닥 상장을 추진하면서 코스피 이전을 결정했다. 앞선 이전상장 사례를 감안하면 이전상장에 6~7개월 가량 소요될 전망이다.

시장에선 자회사 상장에 앞서 코스피로 옮겨가면 기관과 외국인의 수급여건이 개선돼 자회사 가치를 보다 높이 평가받을 수 있다는 계산이 깔린 결정으로 보고 있다. 더블유게임즈는 시가총액이 1조원을 웃돌아 코스피 이전 후 코스피200 편입이 충분히 가능하다. 더블유게임즈 입장에서 코스닥이 매력 없는 시장일 수밖에 없다.

코스닥이 카카오, 셀트리온에 이어 더블유게임즈까지 코스피로 보내야 했던 이유가 무엇일까. 흔히들 ‘코스닥 디스카운트’라고 얘기한다. 밸류에이션 면에서 코스닥이 코스피 대비 낮지는 않다. 주가수익률(PER)로 따지면 코스닥이 코스피보다 2배 가량 높다. 시총은 작지만 거래량은 코스피를 웃돌기도 한다.

그럼에도 코스닥 디스카운트 얘기가 나오는 건 코스닥의 낮은 신뢰도와 관련 있다. 코스닥은 우리 정부가 미국 기술주 시장인 나스닥을 벤치마킹해 1996년 신설했다. 중소·벤처기업이 자금을 원활히 조달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취지였다. 초창기 7조6000억원이던 코스닥 시가총액은 올 상반기 267조7000억원으로 성장했다.

코스닥 성장기가 순탄하진 않았다. 코스닥은 2000년 IT버블이 꺼지면서 한 차례 홍역을 겪었다. 그 이후로도 잊을 만하면 주가 조작, 투자 사기 등 각종 구설수에 오르내렸다. 여전히 이름조차 생소한 종목이 테마주로 묶여 기대감만으로 급등락을 하곤 한다.

그래서 코스닥 개인투자자 대부분은 코스닥을 불신한다. 투기시장으로 보고 단타 수익을 좇는다. 때문에 코스닥 상장사로선 기업 가치를 안정적으로 평가받고 사업자금을 조달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코스닥 활성화 정책이 시행된 지 어느덧 7개월이 훌쩍 지난 시점에 코스닥 디스카운트가 해소됐는지 돌아본다.

코스닥 활성화 정책의 요지는 코스닥에 참여하는 중소·벤처기업과 기관투자자에 세제 및 금융 혜택을 확대함으로써 코스닥을 활성화한다는 내용이다. 잠재력 있는 사업가가 망설임 없이 창업하고 나아가 코스닥 상장을 통해 자금을 조달할 수 있게 돕겠다는 것이다. 혁신기술이 있으면 적자기업도 상장할 수 있게 하는 ‘테슬라 요건’을 확대 적용하고 연기금이 코스닥에서 차익거래를 하면 증권거래세를 면제해주기로 했다.

이 같은 코스닥 활성화는 현재 시장 내 주요 플레이어인 기존 상장사와 투자자로부터 지지받지 못하고 있다. 우량기업은 말할 것도 없다. 가장 문제로 꼽히는 건 무모하게 시장 문턱을 낮췄다는 점과 연기금을 앞세워 인위적인 유동성 공급에 나섰다는 점이다.

기존 상장사와 증권업계 관계자들은 코스닥 신뢰를 제고한다면서 시장 진입 문턱을 낮춘 것을 여전히 납득하지 못한다. 시장에 들인 적자기업들이 잇따라 상장 폐지 수순을 밟을 경우 코스닥과 신뢰와의 거리는 더욱 멀어질 수밖에 없다. 이 경우 피해는 온전히 투자자 몫이다. 상장 문턱 낮추기는 벤처 육성 정책이라면 모를까 코스닥 육성이라는 목적과는 괴리가 있는 수단이다.

연기금을 앞장 세워 유동성을 공급했지만 3~4년 뒤 정책 영향력이 작아지면서 연기금이 이탈할 경우 지수가 거품 녹듯 빠질 수 있다. 일부 상장사 대주주만 배불리고 개인투자자는 피해를 입을 여지가 크다. 연기금도 피해로부터 자유롭지 않다.

코스닥 활성화 정책 발표 이후 코스닥지수는 지난 1월 말 930 가까이 치솟으며 10년여 만에 전고점을 갈아 치웠다. 코스닥 1000 시대가 열리나 했지만 지수는 이내 오름폭을 고스란히 반납하고 800선으로 후퇴했다. 코스닥 활성화 기대감에 올들어 난생 처음 코스닥에 진입한 개인투자자 대부분 수익률이 마이너스일 수밖에 없다.

압축해보면 코스닥 활성화는 최대한 빠르게 상장사를 늘리고 유동성을 증대해 지수를 끌어 올린다는 정책이다. 질이 아닌 양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코스닥시장 펀더멘털 개선과는 거리가 멀다. 양적으로 치우친 정책은 반짝 효과가 나타날지 몰라도 지속 가능성이 작고 부작용이 크다. 코스닥 디스카운트를 해소하려면 몸집 키우기는 잠시 접어두고 체질 개선에 공들이는 게 우선 아닐까.

김수정 기자 sujk@fntimes.com

가장 핫한 경제 소식! 한국금융신문의 ‘추천뉴스’를 받아보세요~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issue

김수정 기자기사 더보기

오피니언 BEST CLICK